소식·행사 언론보도 언론보도 Total : 44 미래 사회 사고체계(패러다임)를 바꾸는 「10대 유망 융합신기술」 발굴·집중 지원! - 민・관 합동의 제1차 「융합연구 혁신전략위원회」 개최 - 융합지수 분석 소개 및 100대 후보기술분야 공유, 추진 방안 논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정부와 연구계가 참여하여 미래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융합신기술 발굴을 위한 제1차 “융합연구 혁신전략위원회”를 3월 12일(수) 그랜드센트럴 서울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금번 회의에서는 정부 및 연구관리 전문기관과 함께, 다년 간 융합연구 및 정책 수립에 참여해온 연구계 인사들이 참여하여, 「10대 유망 융합신기술」 발굴 취지 및 100대 후보기술 분야를 공유하고 추진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참석자들은 융합연구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 “이종 간 융합연구·기술 동반상승 효과를 기본으로 미래 기술·산업의 사고체계(패러다임)를 바꿀 수 있는 융합신기술 분야 발굴” 필요성에 공감하였다. 국제 논문·특허 동향 분석과 연구자 수요를 기반으로 도출된 100대 후보기술로는 자율로봇공학(자율로보틱스/인공지능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로봇>, 생체모사 소프트로봇), 미래에너지(에너지하베스팅, 코스모배터리), 미래의료(제론테크, 뉴럴링크), 차세대소재(메타물질, 다이나믹머터리얼), 인공지능・정보통신(코사이언티스트, 뉴로모픽) 등이 도출되었다. 10대 유망 융합신기술 분야는 △미래 사회 변화 가능성 및 시장 개척 효과, △이종 기술 간 융합동반상승 효과, △혁신도전성・선제적 대응 여부를 기준으로 발굴하고, 한계 돌파, 공통 기반, 연구개발 공백 영역별 세부기술을 발굴하여, 올 하반기 중에 최종적으로 10대 유망 융합신기술 분야 및 세부기술을 확정하고, 발표할 계획이다. 이렇게 확정된 「10대 유망 융합신기술」 분야는 해당 분야・기술에 대한 집중 지원을 추진할 예정이며, 선도적 분야로서 인공지능 기반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로봇)에 대해서는 지원전략을 우선적으로 수립·논의할 예정이다. 출처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링크) 출처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등록일2025-03-12 조회수322 과기정통부↔행안부·방통위↔개보위...인사교류 융합 시너지 낼까 부처 간 인사교류는 대통령실의 부처 간 벽을 허물고 실질적인 ‘원팀’ 체제를 구축하라는 지시에 따른 것 IT정책을 맡는 정부부처에서도 국·과장들의 인사 교류가 이뤄져 어떤 융합 시너지가 창출될지 주목 출처 : 디지털투데이 (링크) 출처Digital Today(2024.03.07) 등록일2024-03-07 조회수268 10년 걸리던 신약 개발에 AI 참전… 몇달이면 된다 [10년 걸리던 신약 개발에 AI 참전… 몇달이면 된다] 여러 기업·학계의 데이터가 공유되고 여러 기업의 기술이 "융합"해야 신약 개발촉진 가능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 "기존 연구 방법으로 기본 단백질 2억 개를 모두 분석하려면 10억 년이 걸리지만, AI는 1년 만에 가능하다. ” 출처: 조선일보(링크) 출처조선일보(2024.03.06) 등록일2024-03-06 조회수302 韓 과학기술 수준, 中에 첫 추월 당해 韓 과학기술 수준, 中에 첫 추월당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월 29일 오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57회 운영위원회에서 한국과 미국 일본 중국 유럽연합(EU) 등 5개국의 국가핵심기술 수준을 비교 분석한 ‘2022년도 기술 수준 평가’ 결과 발표 한국 과학기술 수준이 사상 처음 중국 아래로 떨어짐. 인공지능(AI), 양자역학, 차세대통신 등 국가핵심기술 136개를 조사한 결과 중국은 1위인 미국과의 격차가 3년으로 나타남 반면 한국은 3.2년. 결국 한국의 과학기술 수준이 중국보다 0.2년 뒤쳐짐. 출처: 동아일보(링크) 출처동아일보(2024-03-01) 등록일2024-03-05 조회수261 한계도전 R&D 기술토론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28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한계도전 R&D 프로젝트' 기술 제안 토론회를 진행 한계도전 RnD는 실패 가능성이 높지만 성공하면 파급효과가 큰 연구개발(R&D)을 추진하는 프로젝트로, 민간 전문가에 책임 프로젝트 매니저(PM)를 맡기고 문제 정의와 연구 테마 발굴, 기획, 과제관리 등 R&D 전반을 관리할 수 있는 형태로 운영 이번 토론회에서는 아래 기술을 중점적으로 논의 ▲ 양자 통신용 단일 광자를 상온에서 생성하는 기술 ▲ 과불화 화합물 대체 생체친화적 윤활 코팅 소재 기술 ▲ 최소 에너지를 이용하는 탄소순환 기술 ▲ 과학 기계학습을 이용한 극단 기상변화 예측 및 재난위험 맵핑 기술 등 책임 PM이 연구 주제별 목표와 문제해결 기대치를 전달하고 세부 기획 의견을 수렴해 3월 중 신규 과제 공고 출처: 연합뉴스(링크) 출처연합뉴스(2024-02-28) 등록일2024-02-28 조회수229 범부처 글로벌 R&D 컨트롤타워 출범 범부처 글로벌 R&D 컨트롤타워 출범 과기자문회의 산하 글로벌 R&D 특별위원회 신설, 첫 회의 개최 정부의 글로벌 연구개발(R&D)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글로벌 R&D 특별위원회'가 27일 출범. 글로벌 특위는 글로벌 R&D 추진전략의 본격적인 출발점으로, 글로벌 R&D 정책·사업의 종합·조정, 글로벌 R&D 전략 고도화, 체계적인 사업 운영·관리 등에 대한 범부처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을 수행 특위 위원장은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맡아 총괄하며, 과기정통부, 기재부, 외교부, 산업부, 복지부 등 관련 주요부처의 실장급 공무원 6명이 정부위원으로 참여 풍부한 국제협력 경험과 우수한 연구실적을 보유한 국내외 석학을 비롯해 지식재산권, 기술이전, 국제협력 정책 등 다양한 분야별 전문성을 갖춘 산·학·연 전문가 16명이 민간위원으로 참여해 총 23인으로 구성 [출처: 아이뉴스24 링크] 출처아이뉴스24(2024.02.27) 등록일2024-02-27 조회수272 선도형R&D·기술융합 한목소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신임 차관 및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취임, 선도형 연구개발(R&D) 및 기술 융합 강조 AI 및 디지털 전환, 통신시장 경쟁 촉진에 중점, R&D 예산 구조조정과 현장 소통 강화 방침 선도형 R&D 시스템 전환, 인재 육성 및 긴 안목의 R&D 투자 필요성 언급 출처서울경제(2024.02.26) 등록일2024-02-26 조회수255 과학기술인재간 협력·융합R&D 촉진 학습모임 연다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 '2024년도 러닝랩 사업' 참가자 3월 22일까지 모집 다양한 전공 소속 과학기술인 팀 구성, 자기 주도 학습 촉진 및 협력·융합 연구성과 창출 지원 12개 내외 학습모임, 약 100명 선발 예정, 최대 600만원 활동비 지원 및 우수성과 시상, 교류 기회 제공 출처서울경제(2024.02.26) 등록일2024-02-26 조회수216 ‘STEAM 융합교육 사이트’ 전면 개편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 'STEAM 융합교육 사이트' 10년 만에 전면 개편, 초·중등학교 개학 전날부터 운영 시작 과학기술 기반 융합교육 지원, 전문가 매칭 및 커뮤니티 소통 강화, 교수학습자료 제공 등 기능 향상 융합교육 안내서, 초·중·고등학교용 교수학습자료 등 4000여 개 콘텐츠 제공, 사용자 경험(UX) 최적화 계획 발표 STEAM 융합교육사이트: https://steam.kofac.re.kr/main 기사 링크: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59785 출처UNN (2024.02.21) 등록일2024-02-21 조회수216 농업R&D 융복합 협업 활성화…농업·농촌 '스마트하게' 농촌진흥청, 기후변화·인구 감소·디지털 전환 대응 위해 과학기술 융·복합 및 혁신·협업 강화, 2024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 발표 자율주행 농업로봇 개발 확대, 밭 농업 기계화 추진 및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지구' 9개소 2026년까지 조성 계획 농업분야 R&D 강화, 친환경 생명공학 산업 지원, K-농업기술 해외 확산 등 미래 신성장 동력 확충 및 농촌 활력화 추진 링크: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21913405767304 출처머니투데이(2024.02.19) 등록일2024-02-19 조회수275 12대 미래개척기술 융합연구에 올해 882억원 지원 2024년 융합기술개발사업 주요 신규과제 주요주제(RFP) 과기정통부, 2024년 스팀(STEAM) 연구사업 신규과제 선정계획 공고, 총 882억원 지원 예정 경쟁형 선정 및 글로벌융합연구지원 신설, 상반기 68개·하반기 42개 신규과제 지원 '12대 미래개척기술 로드맵' 기반 연구주제 기획, 다양한 융합연구개발 분야 포함 링크: https://www.inews24.com/view/1688365 출처아이뉴스24(2024.02.19) 등록일2024-02-19 조회수484 첫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기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