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 사회 사고체계(패러다임)를 바꾸는 「10대 유망 융합신기술」 발굴·집중 지원!
- 민・관 합동의 제1차 「융합연구 혁신전략위원회」 개최 - 융합지수 분석 소개 및 100대 후보기술분야 공유, 추진 방안 논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정부와 연구계가 참여하여 미래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융합신기술 발굴을 위한 제1차 “융합연구 혁신전략위원회”를 3월 12일(수) 그랜드센트럴 서울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금번 회의에서는 정부 및 연구관리 전문기관과 함께, 다년 간 융합연구 및 정책 수립에 참여해온 연구계 인사들이 참여하여, 「10대 유망 융합신기술」 발굴 취지 및 100대 후보기술 분야를 공유하고 추진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참석자들은 융합연구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 “이종 간 융합연구·기술 동반상승 효과를 기본으로 미래 기술·산업의 사고체계(패러다임)를 바꿀 수 있는 융합신기술 분야 발굴” 필요성에 공감하였다. 국제 논문·특허 동향 분석과 연구자 수요를 기반으로 도출된 100대 후보기술로는 자율로봇공학(자율로보틱스/인공지능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로봇>, 생체모사 소프트로봇), 미래에너지(에너지하베스팅, 코스모배터리), 미래의료(제론테크, 뉴럴링크), 차세대소재(메타물질, 다이나믹머터리얼), 인공지능・정보통신(코사이언티스트, 뉴로모픽) 등이 도출되었다. 10대 유망 융합신기술 분야는 △미래 사회 변화 가능성 및 시장 개척 효과, △이종 기술 간 융합동반상승 효과, △혁신도전성・선제적 대응 여부를 기준으로 발굴하고, 한계 돌파, 공통 기반, 연구개발 공백 영역별 세부기술을 발굴하여, 올 하반기 중에 최종적으로 10대 유망 융합신기술 분야 및 세부기술을 확정하고, 발표할 계획이다. 이렇게 확정된 「10대 유망 융합신기술」 분야는 해당 분야・기술에 대한 집중 지원을 추진할 예정이며, 선도적 분야로서 인공지능 기반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로봇)에 대해서는 지원전략을 우선적으로 수립·논의할 예정이다. 출처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링크)
출처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등록일2025-03-12
조회수322
-
과기정통부, 제2차 인공지능 데이터 융합 네트워크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 인공지능(AI) 데이터 융합 네트워크' 개최, 인공지능 발전 및 일상화 지원 위해 양질의 데이터 구축 추진 인공지능 데이터 융합 네트워크, 산학연 전문가 협력해 AI 활용 확산 및 필요 데이터 공급 과제 발굴, 10대 전략 분야 도출 및 세부 과제 기획 2024년 사업 방향 설명, 멀티모달 생성형 AI 고도화 및 신뢰성 확보, AI 허브 고도화 및 대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세부 과제 확정 및 사업 공모 계획 발표 링크: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6259
출처디지털투데이(2024.02.16)
등록일2024-02-19
조회수184
-
공공기관 한계 없애고 융복합 연구 투자…출연연 ‘퀀텀점프’ 지원한다
대한민국 정부, 정부 출연 연구 기관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공공기관 지위를 해제할 계획 예산과 인력 비용에 대한 불필요한 경직성을 없애고, 인력 및 임금 규제 완화를 통해 세계적 수준의 연구자 채용을 가능하게 할 것 관리 중심에서 연구자 중심의 지원 체계로 전환, 고수준의 연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인력 채용과 자금 조달의 유연성을 높일 것 링크: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40216050264
출처헤럴드경제(2024.2.16)
등록일2024-02-16
조회수207
-
안철수 의원, “기술 융합과 미래 지향적 법이 세상 바꾼다”
안철수 의원, 기술 융합, 미래 지향적 법, 기술패권 경쟁 속 초격차 기술 확보, 페이스메이커 리더십을 세상을 바꿀 세 가지 트렌드로 소개 mRNA 백신 개발 과정을 예로 들며 기술 융합의 중요성과 미래지향적 법의 필요성을 강조, 기술패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초격차 기술의 확보의 중요성을 언급 리더십의 변화를 강조, 정부가 산업별 정책을 마련하여 초격차 과학기술 확보해야 링크: https://kidd.co.kr/news/235728
출처산업일보(2024.02.16)
등록일2024-02-16
조회수304
-
KAIST, 학위수여식 개최…융합인재학부 첫 졸업생 배출
KAIST 융합인재학부 첫 졸업생 배출: 고경빈, 김백호 씨 과학기술정책대학원과 뇌인지과학과 진학 예정 KAIST 융합인재학부의 목표: 다양한 학문 간 장벽을 넘어서는 문제해결형 인재 양성 2024년도 KAIST 학위수여식: 총 3014명(학사 694명, 석사 1564명, 박사 756명)의 졸업생 배출 수상자 발표: 화학과 유장목 씨(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원자력및양자공학과 정우진 씨(이사장상) 등 링크: https://biz.chosun.com/science-chosun/science/2024/02/15/TI74E7YH3FGX7LZUOQ5FYKPWGE/?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출처사이언스조선(2024.02.15)
등록일2024-02-15
조회수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