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인재양성
학·연협동연구 석·박사과정 소개
KIST 학연 석·박사과정은 연구를 주임무로 하는 KIST와 인력양성을 주임무로하는 대학이 협동하여, 기존의 석ㆍ박사과정과 차별화된 연구중심의 새로운 고급 기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입니다.
KIST와 협력협정을 체결한 대학
-
고려대학교
-
연세대학교
-
한양대학교
-
경희대학교
-
서강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광운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
강릉원주대학교
-
전북대학교
-
전주대학교
-
군산대학교
-
아주대학교
-
조선대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
원광대학교
-
국민대학교
-
중앙대학교
-
건국대학교
-
가톨릭관동대학교
-
수원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운영체계
대학에서 기본교과목을 이수하고, KIST에서 연구과제 참여와 학위논문연구를 수행하며, 학생지도는 KIST와 대학의 지도교수가 공동으로 담당합니다.
교육과정 운영 체계도
- KIST
- 협정대학
- 입학
(3월, 9월) -
모집 및 추천서발급
입학사정
(미래인재위원회)입학전형
- 학생지도
-
특수 교과목 강의
연구과제 참여 실험/실습지도
* 특수교과목 : 연구관리(1,2학기)
표면분석(1학기)
재료분석(2학기)학위논문
연구지도기본 교과목 강의
- 졸업
(2월, 8월) -
SCIE 저널 게재(박사)
학위과정 이수증 수여졸업사정
(미래인재위원회)학위수여
학연 석·박사과정의 장점
학연 협동연구 석ㆍ박사과정 모집 안내
응시자격
- 가. 협정대학의 석박사 과정 입학에 결격사유가 없는 미취업자
- 나. 산업체 등에 재직 중인 자로서 소속기관장의 추천을 받은 자
- 다. KIST에서 실험실습 및 논문지도가 가능한 분야의 전공희망자
- 라. 모집인원 : 석사과정 : 00명, 석ㆍ박사 통합과정 : 00명, 박사과정 : 00명
모집분야
모집대학 | 본원 | 고려대, 연세대, 한양대, 경희대, 서강대, 이화여대, 광운대, 서울시립대, 아주대, 숙명여대, 국민대, 중앙대, 건국대, 서울과기대 |
---|---|---|
강릉분원 | 강릉원주대, 가톨릭관동대 | |
계 | 전북분원 | 전북대, 전주대, 군산대, 조선대, 원광대, 수원대 |
* 강릉분원, 전북분원은 각 분원별로 별도시행(분원 홈페이지 참조)
강릉분원 홈페이지 : gn.kist.re.kr/
전북분원 홈페이지 : jb.kist.re.kr/
제출서류(인터넷 접수)
* 영어 성적 최소 기준 점수 (모집 마감일 기준 최근 2년이내 성적)
구분 | TOEFL | TOEIC | NEW TEPS | IELTS | |
---|---|---|---|---|---|
iBT | PBT(revised) | ||||
취득점순 | 79점 | 59점 | 730점 | 327점 | 6점 |
영어성적 면제기준 :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국가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아일랜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학위를 취득한 자
-
재직증명서, 취학동의서(산업체에 재직중인 자가 지원하는(원본제출)
취학동의서 양식 다운로드
-
박사과정은 연구업적(논문, 특허, 포상 등) 리스트 및 논문스캔파일 제출
연구업적리스트 양식 다운로드
졸업요건
공통요건 |
- 학위논문계획서 제출
|
---|---|
박사과정 |
|
* 학술지의 저자는 반드시 학연학생이 제1저자가 되고, KIST 및 협동대학의 지도교수가 공동저자로 포함되어야 함.
* 해당 분야의 특성상 SCIE 학술지가 아닌 다른 학술지에 게재가 불가피한 경우 별도의 기준을 마련하여 대체 게재를 인정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