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정보
별정직,인턴(기간제)연구원 7월 상반기 채용공고
- 등록일 16.06.30
- 조회수 9727
-
작성자
인사경영팀
- 첨부파일
1. 응모자격
○ 국가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
○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 남자의 경우 병역을 필한 자(군면제 포함)
○ 보훈대상자 및 장애인은 증빙서류 제출시 관계법령에 따라 우대함
※ 보훈·취업 지원대상자 증명서 발급 방법 : 민원24 신청 → 보훈관서처리 → 발급
○ 인턴: 학위 취득 후 고용보험 가입기간 6개월 미만인 자
2. 채용분야 및 자격
채용 본부 |
채용 부서 |
채용분야 (인턴 또는 별정직) (기간제) |
직무내용 |
채용 |
지 원 자 격 (전공 및 학위) |
의공학연구소 |
바이오닉스 연구단 |
생1체신호처리 / 패턴인식 / 신경인터 페이스 (별정직) |
- 생체신호처리 및 패턴인식 관련 연구, 빅데이터 분석, 인체동작 추정 알고리즘 개발 |
1 |
- 전기전자, 컴퓨터, 기계, 의공학 전공 - 박사 이상 소지자 |
생체재료 연구단 |
생체재료, 생물학 (별정직) |
- 생체재료 분석 - 조직공학/생물학 전반 |
1 |
- 생체재료 혹은 조직공학 전공 - 석사이상 (박사급 선호) - 석사이하 (통합과정 진학 필수) | |
생체재료, 조직공학 (인턴) |
- ECM 멤브레인 소재를 활용한 세포자극 연구 - ECM 멤브레인 소재를 이용한 응용연구(심근패치, wound dressing) - 신생혈관유도 세포외 기질(ECM) 기반 하이드로젤 연구 |
1 |
- 생명공학, 의공학, 고분자공학, 화학공학 전공 - 박사학위 예정자(2016년 8월) 또는 박사학위 소지자 | ||
고분자,화공,화학,생명공학 |
- 생체적합성 고분자 재료의 벌크 및 표면개질 - 관상동맥용 재내피화 미래세대 스텐트 및 관련 생체재료 개발 |
1 |
- 생체재료,고분자,조직공학,의공학 전공 - 박사 이상 소지자 | ||
테라그노시스연구단 |
약물전달 /gene delivery (별정직) |
- 종양표적 치료를 위한 siRNA 전달체 개발 |
1 |
- 화학, 세포 생물학, 생명공학, 바이오 관련 전공 - 영어 능통자 - 박사 이상 소지자 | |
세포생물학 (인턴,별정직) |
- 근육세포의 막 융합 기작 연구 - 근육세포의 막 융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Xkr8 단백질의 기능을 밝히고, 이 단백질이 PS 리피드의 세포표출에 미치는 영향과 다른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 |
1 |
- 세포생물학 전공 - 근육세포 융합 기작 관련 연구 경험자 - 박사 이상 소지자 | ||
단백질공학, 암생물학, 종양 면역학 (인턴,별정직) |
- 단백질 나노케이지 (페리틴 나노케이지)를 이용한 종양 면역 치료 연구: 단백질 나노케이지의 표면을 엔지니어링하고, 내부에 약물을 담지하여 종양 면역 치료가 가능하도록 엔지니어링하고 암 성장 및 전이 억제 효능을 확인 |
1 |
- 화학공학 전공 - 단백질 나노케이지 엔지니어링 유경험자 - 종양 면역 치료 실험 유경험자 - 박사 이상 소지자 | ||
나노의학 /분자영상 소재 (별정직) |
- 분자영상 및 약물전달 용 기능성 나노소재 설계, 합성 및 생체 내외 특성 분석 |
1 |
- 화학, 고분자, 재료 전공 - 박사 이상 소지자 | ||
생명과학, 생화학, 암 생물학 (별정직) |
-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 현지 랩에 파견되어 본 연구과제 수행 - 후성유전성 분자 에디팅 기술에 따른 분자생물학적 변화 및 독성 분석 - 암 표적 효능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암 치료기술 개발 |
1 |
- 생명과학 또는 생화학 전공 -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 파견근무가 가능한자. - 암 생물학 또는 세포 생물학, 암 표적화 연구 수행이 가능한 자 - 박사 이상 소지자. | ||
녹색 도시 기술 연구소 |
도시에너지연구단 |
열유동, 에너지해석 (인턴) |
- 응축기 성능 시험 - 응축기 성능 시험 결과 해석 및 상관식 도출 - 응축기 성능 시험 예측 시뮬레이션 툴 개발 |
1 |
- 기계공학 전공 - 열/유체 관련한 성적의 우수한 성적(총 학부성적 GPA 4.0 이상) - 영문 논문을 직접 작성할 수 있는 어학 실력 (토플 IBT기준 100점 이상) - 학사 이상 소지자. |
로봇 미디어연구소 |
로봇연구단 |
신호처리 (별정직) |
- 통신 시그널 분석 및 안정성 향상 연구 - 다중 센서 데이터 특성 분석 연구 |
1 |
- 전기전자, 컴퓨터 전공 - 신호 처리 유경험자 - 다중 센서 데이터 분석 유경험자 - 박사 이상 소지자 |
로봇비전, 센서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 (인턴,별정직) |
- 센서융합기반 3차원 물체 인식 및 분석 기술 개발 - 센서시스템 및 물체의 3차원 위치 추적 기술 개발 - 로봇비전 및 영상처리 관련 알고리즘 개발 |
2 |
-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및 관련 전공 - 별정직(포닥): 박사학위자 중 영상처리, 영상인식, 3차원정보처리 전공자 - 인턴: 학사 또는 석사 졸업 후 6개월 이하 경력을 가진 자 - C,C++ 프로그래밍 가능한 자 - 관련업무 유경험자 우대 | ||
플레시블 디스플레이 UI 개발 (인턴) |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센서 기반 사용자 인터랙션 개발 및 프로그래밍 |
1 |
- 컴퓨터공학, 전자공학 전공 - Unity 프로그래밍 가능자 우대 - 학사 이상 소지자 | ||
영상미디어 연구단 |
3D 디스플레이 (인턴, 별정직) |
- 평판형 3D 디스플레이 시스템 개발 (1명) - 3D 디스플레이 시스템관련 신호처리 또는 영상처리 관련 알고리즘 개발 (1명) |
2 |
- 물리, 전기전자 관련 전공 - 관련 연구 유경험자 우대 - 석사 이상 소지자 | |
동작분석 알고리즘 개발 (인턴) |
- 동작분석 알고리즘 개발 - 휴먼 컴퓨터 인터렉션 (Human Computer Interaction) 기술 개발 - 임상실험 및 사용성 평가 |
1 |
-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전산, 의공학 등 유관전공 - 학사 이상 소지자 | ||
공간증강현실 (인턴,별정직) |
- 원격 로봇팔 제어 기술 개발 |
1 |
- 컴퓨터공학 및 전자공학 유관전공 - 관련 업무 유경험자 우대 - 박사 이상 소지자 | ||
미래 융합 기술 연구 본부 |
계산과학 연구센터 |
플랫폼 구축을 위한 웹프로그래밍 (인턴) |
- 웹기반 시뮬레이션 플랫폼의 웹프로그래밍 - 플랫폼 운영을 위한 HPC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1 |
- 물리/화학/재료/화공 전공 - 계산재료공학 분야 - 석사 이상 소지자 |
국가 기반 기술 연구 본부 |
광전 하이브리드 연구센터 |
슈퍼커패시터 및 배터리 등의 에너지 저장 기술 (인턴,별정직) |
- 슈퍼커패시터 전극 및 배터리 셀 제작 |
1 |
- 재료/화공 전공 - 석사 이상 소지자 |
원장실 |
치매DTC 융합 연구단 |
생화학, 의약화학 (인턴) |
- 탈인산화 효소 억제제 발굴 - 세포기반의 효능물질 평가 시스템 구축 및 평가 |
1 |
- 생화학, 의약화학 전공 - 석사 이상 소지자 |
기술 정책 연구소 |
정책실 |
기획 및 정책연구 (인턴) |
- 홍릉 연구 단지를 창조경제 전진기지로 육성하기 위해 기획. 정책 연구 수행 |
2 |
- 경영, 경제, 인문사회, 산업공학 등 - 석사 이상 소지자 |
융합 연구 정책 센터 |
융합정책팀 |
융합 R&D 정책수립 및 정보분석 (별정직) |
- 국내외 융합연구 동향분석, 뉴스레터 (주간) 발간 등 - 융합 R&D 통계자료 확보 및 정보제공 (융합포털운영) - 정책센터교류회, 미래부/국회 자료 대응, 센터연구과제 운영 등 |
1 |
- 이공계 전분야, 기술정책, 기술경영 분야 전공 - 석사 이상 소지자 (박사학위 소지자 우대) |
강릉 분원 |
천연성분 응용 연구센터 |
천연물 유래 단일성분의 분리/구조 규명 및 식의약품 소재개발 (인턴) |
- 천연물 유래 단일성분의 분리 /구조 규명 - 천연물 식의약 및 향장소재 개발 |
1 |
- 천연물 및 분석화학 혹은 이와 관련 전공 - 강릉근무 가능자 - 석사 이상 소지자 |
3. 채용조건
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적용
나. 기간제 근로자 (24개월)
4. 전형방법
가. 1차 - 서류전형
나. 2차 - 면접전형 (서류 전형 합격자에 한해 개별통보)
다. 3차 - 신원조회
5. 제출서류
가. 지원서 (별첨양식)
나. 대학이상 졸업증명서 각 1부
다. 대학이상 성적증명서 각 1부
6. 기타사항
가. 접수된 서류는 반환하지 않으며, 지원서 또는 제출서류에 허위사항이 발견될 경우 합격을 취소할 수 있음.
나. 신원조회결과 부적격자는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음
7. 접수기간 및 접수처
가. 접수기간 : 2016.07.01. ~ 2016.07.10. (우편 또는 e-mail 접수, 마감일 도착분에 한함)
나. 채용분야별 접수처 및 문의처
채용부서 |
채용분야 |
문의처 |
접수처 |
바이오닉스 연구단 |
생체신호처리/ 패턴인식 / 신경인터페이스 |
박희수 pheesu@kist.re.kr (010-5329-5875) |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
생체재료연구단 |
생체재료, 생물학 |
김상헌 skimbrc@kist.re.kr (02-958-5344) | |
생체재료, 조직공학 |
박귀덕 kpark@kist.re.kr (02-958-5288) | ||
고분자,화공,화학,생명공학 |
최고은 15883@kist.re.kr (02-958-5290) | ||
테라그노시스 연구단 |
약물전달/gene delivery |
조성덕 D14536@kist.re.kr (02-958-5917) | |
세포생물학 |
양유수 ysyang@kist.re.kr (02-958-6655) | ||
단백질공학, 암생물학, 종양 면역학 |
양유수 ysyang@kist.re.kr (02-958-6655) | ||
나노의학/분자영상 소재 |
김세훈 sehoonkim@kist.re.kr (02-958-5924) | ||
생명과학, 생화학, 암 생물학 |
윤홍열 seerou@kist.re.kr (02-958-5917) | ||
도시에너지 연구단 |
열유동, 에너지해석 |
최 선 sunchoi@kist.re.kr (02-958-5573) |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
로봇연구단 |
신호처리 |
김도익 doikkim@kist.re.kr (02-958-5750) |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
로봇비전, 센서융합, 사용자인터페이스 |
김준식 junsik.kim@kist.re.kr (02-958-5755) | ||
플레시블 디스플레이 UI 개발 |
박지형 jhpark@kist.re.kr (02-958-5631) | ||
영상미디어 연구단 |
3D 디스플레이 |
김성규 kihyoon@kist.re.kr (02-958-5793) | |
동작분석 알고리즘 개발 |
김진욱 zinook@kist.re.kr (02-958-6776) | ||
공간증강현실 |
황재인 hji@kist.re.kr (02-958-5762) | ||
계산과학 연구센터 |
플랫폼 구축을 위한 웹프로그래밍 |
이영아 younga@kist.re.kr (02-958-5450) |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
광전 하이브리드 연구센터 |
슈퍼커패시터 및 배터리 등의 에너지 저장 기술 |
손정곤 jgson@kist.re.kr (02-958-5317) |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최규훈 02-958-6255 이메일 : khchoi@kist.re.kr |
치매DTC 융합 연구단 |
생화학, 의약화학 |
이재욱 jwlee5@kist.re.kr (02-958-7255) |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치매DTC융합연구단 김채영 02-958-6998 이메일 : chaeyoung@kist.re.kr |
정책실 |
기획 및 정책연구 |
김영미 ymkim81@kist.re.kr (02-958-6164) |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김영미 02-958-6164 이메일 : ymkim81@kist.re.kr |
융합정책팀 |
융합 R&D 정책수립 및 정보분석 |
이아름 areum@kist.re.kr (02-958-4984) |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융합정책센터 이아름 02-958-4984 이메일 : areum@kist.re.kr |
천연성분 응용 연구센터 |
천연물 유래 단일성분의 분리/ 구조 규명 및 식의약품 소재개발 |
심재진 jjsim@kist.re.kr (033-650-3413) |
강원도 강릉시 대전동 290번지 |
이전
별정직(기간제,인턴)연구원 6월 채용공고 2016-06-10 | 9218
다음
별정직,인턴(기간제)연구원 7월 하반기 채용공고 2016-07-19 | 10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