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게시물 키워드""에 대한 9487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KIST 유럽연구소, 창립 20주년 기념식 개최
KIST 유럽연구소, 창립 20주년 기념식 개최 - 새로운 20년을 위한 비전 선포 및 유럽진출의 현지 거점 역할 강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 유럽연구소(KIST 유럽, 소장 최귀원)는 창립 20주년(창립일 1996년 5월 8일)을 맞이하여 5월 6일(금) 오전 10시(현지시간), 독일 자브뤼켄에 위치한 KIST 유럽에서 이경수 주한독일대사, 크람프-카렌바우어 잘란트 주지사, 이상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이병권 KIST 원장을 비롯한 주요 외빈과 임직원 등 약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2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크람프-카렌바우어 잘란트 주지사는 축사에서 KIST 유럽의 다양한 연구협력 활동과 네트워킹이 잘란트주의 경제 및 연구단지를 국제적으로 부양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언급하며 앞으로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했다. 이상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은 축사를 통해 KIST 유럽의 지난 20년 동안의 노력과 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이제는 KIST 유럽이 유럽 과학기술계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임을 강조했다. 창립 20주년 기념식에 이어 KIST 유럽 정관 및 이춘식 초대 소장의 부조 제막식이 진행되었다. KIST 유럽 초대 소장을 역임한 이춘식 박사(재임기간 : 1996. 5. 15 ~ 2001. 7 .31)는 연구소 운영의 초석을 다지고 한독과학기술협력 활성화에 큰 공로를 세웠으며 이를 인정받아 지난 2007년 독일연방정부가 수여하는 십자공로훈장을 받았다. 1996년 5월 8일 한국 유일의 해외 현지 출연연구기관으로 설립된 KIST 유럽은 지난 20년간 독일 및 EU 현지의 첨단?원천 기술 획득, EU 국가와의 기술 교류 및 공동연구를 위한 거점 확보와 한국 기업들의 EU 진출 지원 역할을 수행해 왔다. 앞으로는 현지 거점의 강점을 살려 유럽 내 연구기관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 연구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KIST 유럽은 개방형 연구확대를 위해 롯데정밀화학, 잘란트대학, 우수기술연구센터협회(ATCA),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등과 공동랩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개원 20주년을 맞이하여 기념식에서는 헬름홀츠질병연구소(HZI)와 공동 연구소 설립을 위한 의향서를 체결하였고 한국화학연구원(KRICT)과는 공동연구실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 및 개소식을 개최하였다. 최귀원 KIST 유럽연구소장은 창립 20주년을 맞아 비전 선포식을 통해 ‘출연(연) 및 산업계의 EU 진출을 지원하는 개방형 연구거점기관’이라는 슬로건을 발표하고, 연구소만의 강점을 더욱 부각시키는 개방형 연구와 산업계 지원 전략을 통해 “독일 내 한국 연구소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KIST 창립20주년 기념식 후에는 국내외 저명한 연구자 및 관계자들이 초청연사로 참여한 BiKiE(범유럽 한인 생명과학 전문가 네트워크, 6일 ~ 8일) Symposium, 환경안전기술 심포지움(Environmental Safety Technology Symposium, 6일), 에너지 워크숍(Energy Workshop, 6일)등 다채로운 학술행사가 함께 개최되었다. ○ 문의 - KIST 유럽연구소 이규영 행정실장 (49-(0)681-9382-207, kylee@kist-europe.de) - KIST 글로벌협력팀 임지영 (02-958-6883, 010-3937-7822, hijiyoung@kist.re.kr)
KIST 유럽연구소, 한·EU 국제 공동 워크숍 개최
KIST 유럽연구소에서 주최하는 한·EU 국제 공동 워크숍이 금동화 원장, 박종구 과학기술부 혁신본부장, 마리아 카스티오 페르난데즈 주한 EU대표부 부대사가 참가한 가운데 12월 3, 4일 양일간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열렸다. 한·EU FTA를 앞두고 양자 간 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350명이 넘는 많은 국내외 산학연 관계자가 워크숍에 참석하였으며, 주요 이슈로 EU 프레임워크 프로그램과 신화학물질관리제도(REACH),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한·EU간 협력에 관한 열띤 논의가 이루어졌다. 또한 강력한 환경무역장벽이라고 인식되는 REACH는 사전등록이 2008년 6월에 시작되어 국내 산업계의 시급한 준비가 절실하나, 아직 대다수의 기업이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REACH 세션에서는 유럽화학물질사무국과 공동으로 REACH 이행지침서 개발에 참여해 온 유럽 전문가들의 방향 제시와 함께 국내 산업계를 위한 KIST 유럽연구소의 REACH 등록 시스템이 공개되었다. 신성장동력의 하나로 최근 들어 정부는 물론 산업계의 집중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신재생에너지분야에서도 EU와의 다각적인 국제협력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KIST 유럽연은 프레임워크 프로그램에 국내 연구기관의 참여를 지원하고 있으며, 초강력 환경 무역 장벽으로 알려진 EU REACH에 대한 국내 산업계의 기술적, 정책적 대응 전략을 개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한국과 유럽의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KIST 유럽연구소, 한·EU 국제공동워크숍 개최
KIST 유럽연구소(소장 김창호)와 한국산업기술재단(이사장 김용근)이 주최하는 한·EU 국제 공동 워크숍이 금동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김용근 한국산업기술재단 이사장, Mr. brian McDonald 주한 유럽연합 유럽위원회대표부 대사가 참가한 가운데 3월 17, 18일 양일간 르네상스 서울호텔 3층 다이아몬드 볼룸에서 개최하였다. 400여명이 넘는 국내외 산‧학‧연 관계자가 참석한 이번 워크숍은 우리나라 기업, 대학, 연구소의 연구진들에게 EU와의 산업기술 협력활성화를 위한 EU 환경규제, 공동연구개발 및 녹색기술 등과 관련된 최신 정보를 공유하는 자리가 되었다. 주요 이슈로 다루어진 EU 프레임워크 프로그램과 신화학물질관리정책(REACH),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한·EU간 협력에 관한 열띤 논의가 이루어졌다.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공동 R&D 프로그램인 EU 프레임워크 프로그램에는 2013년까지 약 550억 유로가 투자될 예정이다. 주최 측은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2006년 한-EU 과학기술 협정 체결로 급물살을 타고 있는 양국 간의 협력 확대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IST 유럽의 새로운 시도 - 현지인 R&D 담당소장 영입(9.28)
우리원 독일 현지법인인 KIST 유럽연구소는 10월 1일부터 연구개발을 담당할 유럽 현지인 소장(이하 R&D 담당소장)으로 안드레아스 만츠 박사(Andreas Manz, 52세)를 영입하였다. 이를 위해 한홍택 원장은 9월 28일(현지시간) KIST 유럽연구소에서 안드레아스 만츠 박사와 임용계약을 체결했다. 만츠 박사는 향후 5년간 김광호 소장과 함께 KIST 유럽연구소를 이끌어가게 된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한-독 양국 정부의 합의에 따라 1996년 국내 유일의 유럽 현지 연구소로 설립된 KIST 유럽연구소는 설립 이래 EU 지역의 연구거점으로서 바이오, 메카트로닉스 분야에서 첨단 핵심기술 연구를 수행하는 한편, 국내 산․학․연의 유럽진출을 위한 거점역할을 담당해왔다. KIST는 이번 R&D 담당소장 공모에 응모한 총 36명의 유럽현지의 중견연구자를 대상으로, 한국 및 독일 인사로 구성된 수 차례의 선발위원회 심사를 거친 끝에 독일 분석과학연구소장(ISAS)을 역임한 만츠 박사를 선임했다. 안드레아스 만츠 박사는 Lab on a Chip 기술의 선구자로 세계적으로 명망있는 과학자이다. 그는 “한국과 유럽의 나노, 바이오멤스 등의 요소기술과 그의 연구 성과가 성공적으로 결합한다면 화학, 생명, 환경, 제약 및 의료 보건 등 광범위한 산업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올 해로 설립 13주년을 맞이하는 KIST 유럽연구소는 본격적인 개방연구 확대를 위해 이번 R&D 담당소장 영입 계획을 추진하였으며, 향후에는 R&D 담당소장이 현지 수탁 연구과제 수주, 우수 연구성과 창출을 통한 연구소의 위상 제고와 함께 우수 연구인력 확보에 나섬으로써 설립 20주년을 맞이하게 되는 오는 2016년까지 프라운호퍼연구소와 같은 우수 현지 연구소로 도약시킨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를 위해 KIST 유럽연구소는 한국 산학연과의 협력거점 역할을 담당할 제 2연구동을 건설 중에 있으며 내년 4월 준공을 앞두고 있다. KIST 유럽연구소가 이번 R&D 담당소장 영입으로 본격적인 EU 내 연구협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함으로써, KIST가“세계수준의 연구소”로 도약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KIST 유영숙 박사, (재)기후변화센터 제5대 이사장 취임
한국과학기술연구원(원장, 이병권)은 13일(월) 前 환경부 장관을 역임한 KIST 유영숙 책임연구원이 재단법인 기후변화센터 제5대 이사장으로 선임되었다고 밝혔다. 임기는 2년간이다. 이날 서울 중구 정동 컨퍼런스하우스 달개비에서 개최된 이번 이·취임식에서는 강창희 4대 이사장(전 국회의장)의 이임식과 유영숙 5대 이사장의 취임식이 동시에 진행되었으며, 고건 기후변화센터 고문(아시아녹화기구 운영위원장, 전 국무총리), 이장무 카이스트 이사장 등 10여 명의 이사가 참석하였다. 유영숙 신임 이사장은 취임사에서 “환경부 장관 역임 시절부터 지난해까지 UN기후변화 총회에 매년 참석하고 있다. 국제사회의 동향 및 기후변화로 인한 심각성에 대해 잘 인지하고 있다.”고 말하며, “논어의 ‘임사이구 호모이성(臨事而懼 好謨而成)’이라는 말처럼, 어려운 시기에 중요한 일에 임하며 두려움을 알고 동시에 엄중한 마음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신기후체제 대한민국의 과제들을 슬기롭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겠다. 나아가 환경문제를 넘어 새로운 성장동력과 글로벌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재)기후변화센터 유영숙 이사장은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오레곤 주립대학교에서 생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0년부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센터장, 본부장, 연구부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또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제14대 환경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19년부터 한국바이오연료포럼(KBF) 초대 회장을 맡고 있다. 기후변화센터는 2008년 국내 최초의 비영리민간 기후변화 대응 기구로 설립되어, 정부·기업·학계·시민사회를 연결하는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 네트워크의 구심점으로 각 부문 간의 실질적 연대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역량을 제고하고 저탄소 사회를 구현하는데 주력해왔다.
KIST 이민아 박사, ‘Wiley 젊은 연구자 상’에 선정
- 글로벌 학술출판사 ‘와일리(Wiley)’ 선정, 35세 미만의 연구자 3인 발표 - KIST 이민아 박사(만 32세), 재료과학 분야 우수 연구자로 주목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은 22일(수) 글로벌 학술출판사인 미국 ‘와일리(Wiley)’ 출판사가 발표한 ‘Wiley 젊은 연구자 상(Wiley Young Researcher Award)’ 최종 3인으로 KIST 에너지저장연구단 이민아 박사가 선정됐다고 밝혔다. Wiley는 이민아 박사를 최종 3인으로 선정한 이유에 대해 “이민아 박사는 탁월한 연구 성과를 보였으며, 특히 배터리 분야의 연구가 매우 뛰어나다. 주요 연구분야인 에너지 저장 기술은 신재생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이는 사회 발전과 환경 개선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현재 KIST 청정신기술연구소 에너지저장연구단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인 이민아 박사는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저장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차세대 배터리를 위한 기능성 유기물 개발을 중점적으로 연구해왔다. 특히 산화·환원 활성을 가진 저비용·친환경 유기화합물의 다중 전자 전달 매커니즘을 이해하고, 이러한 반응의 안정성과 속도 향상을 위한 다차원의 소재 최적화 전략을 개발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KIST 이민아 박사는 Nature Energy, Nature Communications, Advanced Materials, Angewandte Chemie 등 11편의 주저자 논문을 포함하여 총 27 건의 논문을 발표하여 왕성한 연구 활동을 하였으며, 해당 논문이 현재까지 1,400 여회 이상 피인용되어, 해당 분야를 선도하는 젊은 과학자로 학계에서도 큰 주목을 받아왔다. 상기 성과는 재료학회(MRS) 박사후(Post-doc)상(2018년), 전기화학학회(ECS) 우수 학생상(2015년), KAIST 최우수 박사 학위 논문상(2015년), 삼성 휴먼테크 논문대상 금상(2011년) 수상 등, 대내외 수상으로 그 성과를 인정받은 바 있다. KIST 이민아 박사는 ‘Wiley의 젊은 과학자’에 선정된 소감으로 “과학자로서 기술 개발을 통해 세상을 조금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고 싶은 바람이 있다. 저의 연구가 저비용·고효율의 에너지 저장 기술 발전에 보탬이 되어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2018/2019년 처음으로 출범한 Wiley 젊은 연구자 상(Wiley Young Researcher Award)은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에서 그 연구의 파급력이 크고, 사회 발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신진 연구자를 선정하는데 취지가 있다. 만 35세 미만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적 소지자가 지원할 수 있으며, 올해는 ‘재료과학’ 분야의 연구자 중 선정하였다. Wiley는 이번 젊은 연구자 상에 수백 명이 지원한 가운데 심사위원으로 초청된 재료과학 분야의 저명한 외부 연구자들이 공정한 심사를 통해 KIST 이민아 선임연구원과 함께, 중국 북경대학교 Yuchao Yang 교수와, 일본 규슈대학교 Nobuhiro Yanai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KIST 이병권 신임 원장 취임(2014.03.13)
3월 13일 서울 본원에서 우리 원의 제23대 원장 취임식이 열렸다. 신임 원장을 맞은 우리 원은 국내 최초의 종합연구소로 1966년 설립 이후 지난 50여년동안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연구개발 패러다임을 주도하며 경제발전의 원동력을 제공해온 곳이다. 이렇듯 오랜기간 축적된 연구 역량과 탄탄한 인적 네트워크 및 인프라를 보유한 국가 대표 연구소 우리 원이 신임 원장 취임을 맞아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밝혔다. 이병권 신임 원장은 우리 원이 나아갈 방향으로 “사회 현안 문제를 해결을 통한 미래사회 대응”을 첫 번째로 꼽았다. 고령화 사회, 에너지·식량 등 미래자원 확보를 위해 우리 원이 적극적으로 힘쓰겠다는 뜻이다. 또한 국가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KIST의 기초·원천 연구 성과가 중소·중견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 기술 창업이 활발히 일어나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우리 원에서 30여년이상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답게, 원장실 문턱을 낮춰 직원들과 마음과 귀를 열어 소통할 것을 약속했다. 2016년 50주년을 맞는 우리 원은 이 신임원장이 취임사 말미에서 밝혔듯 지난 50년의 성과를 철저히 돌아보고 새로운 도전 정신으로 우리 원의 미래를 준비할 예정이다. 신임 이병권 원장은 1980년 서울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1989년 미국 애크런(Akron) 대학에서 화학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4년부터 우리 원 환경·에너지 부분 본부장으로 역임하면서 관련 분야 연구를 이끌었고, 2012년부터는 부원장을 역임했다.
KIST 이병권 원장,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과출협) 신임회장에 선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은 2014년도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이하 과출협) 제4회 총회를 통하여 이병권 원장이 과출협 회장으로 선출되었다고 밝혔다. 과출협은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기관(이하 출연기관)의 공동관심사에 관한 협의 및 상호 협력도모를 위해 설립된 기관장 협의체이다. 대덕연구단지, 서울, 창원, 광주 등에 소재한 51개 출연기관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신임 이병권 회장은 KIST 부원장을 거쳐 2014년 3월 KIST 23대 원장으로 선임되었으며, 창의적 연구환경 조성, 투명한 경영체계 확립 등을 주도하는 안정적 리더쉽을 발휘하였다. 또한, GWP(Great Work Place) 3년 연속 대상 수상,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 2년 연속 1등급 달성 등 KIST의 변화와 혁신에 앞장서며 경영 능력을 인정받았다. 또한 과출협 산하 출연(연)의 부원장/선임본부장의 협의체인 출연(연)발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출연(연)간 협력·융합과제의 도출을 이끌고 중소기업 지원을 강화하는 등 출연(연)의 자발적 역할 변화와 기능 재정립을 주도해왔다. 이런 공로를 인정받아 신임 회장으로 선출된 이병권 원장은 2년간 과출협을 이끌게 된다. 이병권 회장은 “51개 출연기관들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고 정부와의 원활한 협력 도모를 통하여, 출연기관이 국가·사회적 현안 문제를 해결하고 국민 행복과 국가 발전에 이바지하는 주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회장으로서 최선을 다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KIST 이병권 원장>
KIST 이병권 원장, 사이언스지 기고 게재 (2016.02.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이병권 원장은 세계적인 과학전문 저널인 사이언스지(351호) 2016년 2월 26일자 사설 면을 통해 ‘KIST 창립 50주년, 과거의 기적을 넘어’라는 제목의 특별 기고를 게재하였다. 이에 앞서 사이언스지는 1970년 3월, KIST의 설립배경과 경과에 대해 ‘한국의 과학 연구소: 개발도상국의 모델인가?(Korean Science Institute: A Model for Developing Nations?)’라는 기사를 게재한 바 있다. 이번 사이언스지 특별 기고에서 이병권 원장은 한국전쟁 직후 세계 최빈국의 대한민국이 지난 50년간 KIST를 비롯한 과학기술계의 큰 기여를 통해 경제규모 11위의 G20 회원국이 되었다고 설명하였다. 특히, 대한민국 최초의 종합연구기관인 KIST와 KIST를 모태로 한 16개 전문 연구기관들의 연구개발 성과와 상용화가 기존의 농업 중심 경제에서 반도체, 자동차, 철강, 조선, 전자, 기계?부품, 석유화학 등을 포함한 최첨단 기술 기반의 경제대국으로의 기적적인 대전환을 가능하게 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KIST의 주요 연구임무 외에 창조경제 실현과 세계 공동체를 위한 협력에 기여하기 위한 중소기업 지원사업 및 상용화 연구 수행과 KIST의 설립모델을 적용한 V-KIST(Vietnam-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설립지원 사업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이병권 원장은 “지난 반세기 동안 대한민국의 발전은 기적이라고 할 수 있고, 향후 50년간 KIST는 과거의 기적을 넘어 국가 연구개발의 선도자와 중심 역할 뿐만 아니라 세계 인류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사이언스지는 미국과학진흥협회에서 발행하는 과학 전문 주간지로 1880년 창간되어, 1990년 미국과학진흥협회가 인수하면서 미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과학 잡지로 인정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