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게시물 키워드""에 대한 9487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주한 미국대사 초청강연 개최 (7.8)
캐슬린 스티븐스(Kathleen Stephens) 주한 미국대사가 7월 8일 특별강연을 위해 우리 원을 방문하였다. 스티븐스 대사는 한홍택 원장을 만나 KIST의 연구개발 현황 및 발전계획에 대한 설명을 들은 뒤 존슨강당에서“과학외교(Science Diplomacy)”를 주제로 특별강연을 진행했다. 스티븐스 대사는 KIST가 한미 우호관계를 토대로 설립된 “과학외교의 산물”이며, KIST 설립과 성공에 대한 자부심을 공유하고 싶다고 밝혔다. 스티븐스 대사는 과학자와 외교관의 공통점을 역설하며, 변화에 열려 있어야 하고 끊임없는 도전에 부딪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KIST는 박정희 대통령과 미국 린든 존슨 (Lyndon Johnson) 대통령 간의 한미 공동성명의 결과로 지난 1966년에 설립되었으며, 이를 기념하기 위해 본관 대강당을“존슨강당”으로 명명해 사용해오고 있다.
주한 미국대사관 신임 참사관 방원(8.28)
주한 미국대사관 신임 참사관(James Waller)이 8월 28일(목) 신임 인사차 우리 원을 방문하여 금동화 원장을 접견하였다. 금 원장은 James Waller 참사관을 접견한 자리에서 KIST 분소 현황 및 대미 협력현황을 설명하였으며, 미 참사관은 Annual Meeting on S&T 개최 등 KIST 의 협력을 요청하였다. 또한 국내대학과의 협력, 사기업 협력, 정부정책 참여 등에 대하여 질의 및 답변을 주고 받았으며 연료전지모니터링 사업 등 우리 원의 연구활동에 관심을 표하고 세부협력 협의 및 연구실 방문을 위해 다시 방원키로 하였다. 신임 미 참사관은 미생물학 석사과정을 마쳤으며, 35세에 과학자에서 외교관으로 직업을 전환하였으며 최근 4년간 태국 등에서 health 관련업무를 진행하였으며 주한 대사관에서 비자담당업무를 맡아 근무한 경력이 있다.
주한 브라질 대사 방문 (9.25)
에지문도 수쑤무 후지따 (Edmundo Sussumu Fujita) 주한 브라질 대사가 2009년 9월 25일 우리 원을 방문하여 한홍택 원장을 접견하였다. 올해 한국에 부임한 후지따 대사는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한국-브라질간 과학기술 협력에 대한 희망을 표명하였으며, 향후 협력가능 분야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한 오만 대사 방문 (1.7)
무하메드 알하씨 (Mohamed Salim Hamood Alharthy) 주한 오만 대사가 2010년 1월 7일 우리원을 방문하였다. 알하씨 대사는 한 홍택 원장과의 면담을 갖고, 환경, 에너지, IT 등의 분야에서 오만의 과학기술 역량강화를 위한 기술지원 방안에 대하여 의견을 교환하고 향후 구체적 사업을 발굴하기로 하였다. 오만은 아라비아반도 남동부에 위치한 석유 천연가스 등 자원 부국으로 알려져 있으며, 알하씨 대사는 오만은 안전하고 아름다운 경관을 가진 나라임을 강조 하였다.
주한 외교사절들이 KIST에 모인 까닭은?
- KIST, 제57주년 개원기념식에서 ‘탄소중립’을 주제로 주한 외교사절 세미나 개최 - 49개국 주한 대사관, 국제기구 2곳 등 총 92명 참석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윤석진)은 10일 제57주년 개원기념일을 맞아 서울 하월곡동 KIST 본원에서 주한 외교사절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탄소중립’을 주제로 열린 이 날 세미나는 총 49개국의 주한 외교사절과 국제기구 2곳, 출연연 5곳의 전문가들이 한 데 모여 각국의 정책 및 기술현황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KIST는 매년 개원기념일을 맞아 주한 외교사절들을 초청해 기념식을 개최해왔지만, 매년 반복적으로 개최되는 형식적인 행사에 외교사절들의 관심도가 떨어지는 상황이었다. 이에 기존의 형식을 과감히 벗어던지고 외빈들이 참석하고 싶은 행사를 기획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기념식 행사는 KIST 직원 및 동문 위주로 진행하고 주한 외교사절들과의 세미나를 준비했다. 결과는 기대 이상이었다. 세미나의 첫 번째 발표를 맡은 KIST 청정신기술연구본부 민병권 본부장은 인공광합성, 태양전지, 건물일체형태양광발전시스템, 유기태양전지, 그린올(Green-ol) 등 KIST의 탄소중립 기술 연구현황에 대해서 설명했다. 뒤이어 주한 스웨덴 대사관 안데르스 헥토르 과학혁신참사관, 주한 독일 대사관 아넷 슈왈츠 과학참사관, 주한 영국 대사관 과학기술과장, 주한 이탈리아 대사관 마시모 파세라 과학기술 담당관이 각국의 탄소중립 관련 정책 추진현황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고, 이후로는 참가자들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과학기술 분야의 국제협력 실천방안을 자유롭게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KIST 윤석진 원장은 “KIST는 과학기술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시급한 과제인 탄소중립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오늘 행사가 기대 이상으로 성황리에 개최된 것은 탄소중립은 이제 어느 한 국가의 문제가 아니라 전 지구적인 문제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고 있으며, 향후 오늘 행사를 정례화 해 KIST가 과학기술 분야의 국제협력의 구심점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행사의 의의를 설명했다. 붙임. 1. 일정계획(안) 2. 참가자 명단 사진 1. KIST 윤석진 원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 2. KIST 제57주년 개원기념식 주한 외교사절 세미나 참석자 단체사진
주한 이스라엘 대사 방문 (2.9)
투비아 이스라엘리 (Tuvia Israeli) 주한 이스라엘 대사가 2010년 2월 9일 우리원을 방문하였다. 한홍택 원장과 이스라엘리 대사는 양국간 과학기술 협력현황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향후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한 프랑스 대사 방문(10.2)
주한 프랑스 필립 티에보(Philippe Thiebaud) 대사가 10월 2일 우리 원을 방문하였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CNRS)와의 협동연구실(LIA) 추진 및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협력 등에 관해 의견을 교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