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게시물 키워드""에 대한 9484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KIST 40주년 기념 'Home Coming Day' 행사(10.20)
우리 원은 10월 20일 죤슨강당 및 식당옆 잔디밭에서 새롭게 변화하는 KIST의 모습을 동문들에게 소개하고 만남의 시간을 통해 동문과 직원들간의 유대를 돈독히 하기 위해 오픈랩(Open Lab.)과 역사관 관람을 비롯, 기념 음악회와 리셉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었다.(리셉션장에서 귀빈들과 함께 축하케이크 커팅) 우측부터 김은영 총동문회장, 박원희 前 원장, 금동화 원장, 김재관 박사(자랑스런 동문상 수상자), 박호군 前 장관, 박원훈 前 원장
KIST 40주년 기념 'Home Coming Day' 행사(10.20)
우리 원은 10월 20일 죤슨강당 및 식당옆 잔디밭에서 새롭게 변화하는 KIST의 모습을 동문들에게 소개하고 만남의 시간을 통해 동문과 직원들간의 유대를 돈독히 하기 위해 오픈랩(Open Lab.)과 역사관 관람을 비롯, 기념 음악회와 리셉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었다.(홈커밍 행사에 참석한 귀빈들) 우측부터 박상대 기초기술이사회 이사장, 박원희 前 원장, 박호군 前 장관, 금동화 원장, 김종필 前 국무총리, 김은영 총동문회장, 한갑수 前 장관, 황숙주 감사
KIST 40주년 기념 'Home Coming Day' 행사(10.20)
우리 원은 10월 20일 죤슨강당 및 식당옆 잔디밭에서 새롭게 변화하는 KIST의 모습을 동문들에게 소개하고 만남의 시간을 통해 동문과 직원들간의 유대를 돈독히 하기 위해 오픈랩(Open Lab.)과 역사관 관람을 비롯, 기념 음악회와 리셉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었다.(금동화원장 인사말)
KIST 5월 지역사회공헌활동 - 성북 드림놀이터(2015.05.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은 5월 28일(목), “성북 드림놀이터”라는 주제로 KIST 운동장에서 지역사회공헌활동을 실시하였다. 이번 활동은 장애 아동 및 청소년들에게 문화체험을 지원하고, 스트레스 해소 및 신체조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KIST 직원들은 장애아동들의 특성 및 대처법에 대한 교육을 받은 후, 50여명의 장애 아동 및 청소년들의 과학활동 체험 및 놀이체험을 지원하였다. 또한 이 날, 성북장애인복지관으로의 후원금 전달식도 이루어졌는데, KIST는 2009년 9월 사랑의 계좌를 개설하여 직원들의 동의를 받아 매월 급여 이체형(1구좌당 1천원) 모금을 진행하고 있고, 이렇게 적립된 기부금은 인근 복지관 및 불우이웃을 위한 후원금 기부로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KIST는 성북구내 복지기관들과 결연하여 매월 지역사회공헌 활동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직원들에게 다양한 사회봉사활동 참여기회를 제공할 뿐 아니라, 더불어 가는 KIST로서의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KIST External Review(10.12~14)
우리원은 기초기술연구회가 글로벌 기준에서 소관기관의 연구수준을 진단하여 소관기관의 국제적 위상과 연구역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국제진단이 10월 12일(월)부터 14일(목)까지 3일간에 걸쳐 본관 국제회의실에서 진행되었다. 기초기술연구회 소속 기관중 올해(2009년)는 KIST, 생명공학연구원 등 5개 기관이 진단을 받으며, 2010년 나머지 8개 기관에 대한 진단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우리원은 스탠포드대학의 Robert Sinclair 교수가 이끄는 진단위원회를 통해 경영시스템, 연구활동, 3개 연구단 (캐모인포매틱스, 연료전지, 인지로봇)에 대한 진단을 받았다. 진단은 프리젠테이션, 주요 보직자 및 선책임 연구원 인터뷰, Lab 실사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공식진단결과는 10월말까지 보고서형태로 기초기술연구회측에 제출될 예정이다.
KIST IRDA 10주년 기념 국제컨퍼런스 행사 (11.16)
KIST IRDA 10주년 기념 국제컨퍼런스 행사 (11.16) 가나, 나이지리아, 코스타리카... 월드컵 본선 참가국 명단이 아니다. 바로 우리원이 10년째 운영해오고 있는 국제 R&D 아카데미(IRDA) 신입생 모집에 지원서를 낸 학생들이 소속된 국가들이다. 매년 봄, 가을 두 차례 IRDA 신입생 모집에 개발도상국 및 저개발국 이공계 인재들이 모이고 있다. 도제식 현장교육과 첨단 연구 인프라가 잘 갖춰진 이 과정에 입학허가를 얻기 위해서는 최소 2.5대 1이상의 치열한 경쟁을 뚫어야 한다. 지원자 부족으로 고민하는 우리나라 이공계 대학 및 대학원의 상황과는 많이 다르다. 우리원 IRDA 과정은 지난 2001년 개원한 21개국 147명의 석·박사를 배출한 바 있고, 현재도 19개국 118명의 학생들을 과학기술 인재로 양성하고 있다. 창립 10주년을 맞이해 11월18일(금),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본원에서 졸업 후 각국의 정관계, 학계, 연구계, 산업계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60여명의 동문들을 초청하여“국제 R&D 아카데미 10주년 기념 국제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우리원이 IRDA 과정을 시작한 것은 주요 신흥시장(Emerging Market)으로 부상하고 있는 개도국 과학기술 인력을 대상으로 국가차원의 인력 개발사업을 추진해, 향후 양국 간의 과학기술 협력 창구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한국의 성공적인 산업기술 개발 경험을 전수받기 원하는 개도국의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국가 간 경제․통상 외교 추진을 뒷받침 하고 있는 전문 기술인력 양성에 힘쓰고 있다. 우리원은 이번 대규모 동문 초청행사를 통해 국제 R&D 네트워크를 본격 가동할 예정이다. 문길주 원장은“IRDA 동문을 중심으로 글로벌 아젠다형 국제공동 연구과제를 발굴·선정하고, 동문-동문, 동문-재학생, 동문-KIST 등 다차원적인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해 향후 개도국과의 과학기술 ODA사업, 지구온난화 등 글로벌 아젠다 해결에 적극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