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
게시물 키워드""에 대한 9480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경영리더십 포럼 한비야 (9.2)
껄끄러운 호칭 문제를 단박에 정리했다. 선생님 혹은 팀장으로 불리는 것을 원치 않았다. 자신보다 어린 사람은 언니 혹은 누나, 자신보다 나이 많은 분은 친구로 정리했다. 선생님이라는 호칭에 대해서는 더욱 손사래를 친다. 자신도 매일매일 망설이고, 흔들리는 우리와 같은 사람이란다. 자신이 좀 더 일찍 경험한 세상, 반 발짝 먼저 본 세상이야기를 언니와 누나의 심정으로 알려주고 싶다고 했다. 대한민국은 베이스캠프 전 세계가 나의 무대 한비야 누나가 준비한 특강의 키워드는 머리, 가슴, 손이었다. 그의 첫 번째 화두 ‘머리’ 는 세계지도다. 세계지도에 담긴 뜻은 삶의 관심과 무게, 사랑을 좁은 대한민국에 한정하지 말고 세계로 넓히라는 것이다 . 우리가 터 잡고 있는 대한민국이 베이스캠프라면 우리의 무대는 세계이다. 바람의 딸, 세계의 딸로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고 있는 지금의 한비야를 만든 것도 어릴 적 아버지가 사준 세계지도였다. 집안 곳곳에 장식된 지도와 또 지도로 장식된 커튼, 저금통, 필통, 식판(한비야 누나의 어린시절은 세계지도 없이 설명할 수가 없다고 했다.) 속의 세계지도를 보면서 한비야의 꿈은 자연스럽게 세계를 향할 수 있었다. 세계지도 속에는 우리가 필요로 하는 강대국 뿐만 아니라 우리를 필요로 하는 약소국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우리를 필요로 하는 나라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그가 정말로 강조하고 싶었던 이야기다. 정글의 법칙, 사랑과 은혜의 법칙 세상을 움직이는 원동력은 ‘정글의 법칙’과 ‘사랑과 은혜의 법칙’이 있다고 했다. 정글의 법칙은 강자가 약자를 누르고 이긴 사람이 모든 것을 독식하는 것이라면 ‘사랑과 은혜의 법칙’은 강자가 약자를 돌보고, 약자가 강한 사람으로 성장하고 다시금 그 사람이 약자를 도우는 선순환의 법칙이다. 새가 양 날개로 하늘을 날 듯, 자전거 바퀴가 두 개이듯 세상도 결국 정글의 법칙과 사랑과 은혜의 법칙이 공존한다. 정글에 법칙에 자신의 손을 빌려주는 사람은 많다. 오늘 한비야의 특강을 듣는 사람은 정글의 법칙이 아닌 사랑과 은혜의 법칙에 자신의 손을 빌려주었으면 한다고 호소했다. 한손은 자신을 위해서 다른 한 손은 다른 사람을 위해서 빌려주라고 말이다. 한국전쟁으로 폐허가 되어 40년 동안 선진국의 원조를 받았던 대한민국이 경쟁력이 있는 강한 국가가 되어 다시 약한 나라를 원조하는 것도 바로 사랑과 은혜의 법칙의 예라고 할 수 있다. 무엇이 내 가슴을 뛰게 하는가 한비야는 가슴에 불화살을 꽃은 케냐의 어느 의사이야기를 했다. 지금도 그때 생각을 하면 소름이 끼친다고 했다. 손과 얼굴, 귀가 뭉그러진 환자들을 치료하면서도 늘 콧노래를 부르는 멋진 남자, 그가 상상한 좋은 비주얼의 멋진 남자는 아니었지만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의 모습에서 그는 광채를 보았다. 그리고 그 의사의 말한 한마디가 한비야를 긴급구호의 길로 이끌었다. ‘무엇보다 이 일이 내 가슴을 뛰게 하기 때문이죠’. 내 가슴을 뛰게 하는 뜨거운 불화살이 있다면 방전은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 이내 나를 움직이게 하는 에너지가 다시 생성되기 때문이다. 99도가 아닌 100도의 의미 머리가 합리적이고 가슴이 뜨거워도 손과 발의 실천이 없으면 소용이 없다. 99도까지 데워지는 사람은 많으나 실제 물이 끊는 100도에 이르는 사람은 많지 않다 . 그 1도의 차이는 무엇이 진정 가슴 뛰는 일인가를 고민하고 용기를 내서 실천하는 사람이다. 그 일은 진정으로 하고 싶으면 하고 싶은 갈망만큼의 용기가 난다. 조금 하고 싶으면 조금의 용기가 나고 많이 하고 싶으면 많은 용기가 생기는 법이다. 기왕에 한번 사는 인생 99도에 멈추지 말고 100도의 열정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 다른 사람의 행복과 연결되는 삶, 다른 이의 눈물과 상처를 닦아주는 손과 발이 움직이는 실천적인 삶이 100도의 삶이다. 돈과 시간, 에너지와 사랑을 주는 사랑, 은혜의 법칙에 손을 빌려주는 삶이 100도의 열정적인 삶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한비야씨가 강연 전 상영한 영상에서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는 전쟁과 질병, 가난으로 3초에 1명에 아이가 죽어가고 있다고 했다. 그들을 살리기 위해 10년간의 고군분투 속에는 그를 움직이게 한 머리와 가슴, 손이 있었다. 그리고 그는 다시 멋진 인생의 후반전을 준비하고 있다. 아직 전반전도 끝나지 않은 서른과 마흔의 삶,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도전한다면 인생 후반엔 멋진 경기를 할 수 있을 거라며 젊은 동생들을 격려했다.
소설가 김훈 창의포럼 개최(8.24)
그는 컴퓨터로 글을 쓰는 행위를 비천하다고 표현했다. 연필 없이는 단 한 줄의 글도 쓸 수 없다고 했다. 원고지와 연필, 지우개가 있어야 글쓰기가 가능한 아날로그 작가 김훈이 이메일 계정을 가질리 없다. 창의포럼을 기획하면서부터 강연하는 당일까지 작가와의 연락은 오로지 휴대전화를 통해서만 가능했다. ‘이상 문학상’, ‘동인문학상’, ‘황순원 문학상’ 등을 수상한 김훈 선생과 자주 통화할 기회를 접한 것도 그의 지독한 아날로그 사랑 덕분이었다. 과학책을 사랑하는 소설가 김훈은 유클리드 기하학, 파브르 곤충기와 식물기, 그리고 다윈의 책들을 자주 읽는다. 네비게이션이 등장하기 이전에 만들어진 ‘항해의 기술’도 그가 즐겨 읽는 책이란다. 아날로그 문명의 수호자처럼 대중에게 각인된 김훈이 자신의 전공인 소설책보다 과학서적을 즐겨 읽는다는 것은 의외였다. 김훈 소설 특유의 간결한 문장이 왠지 과학과 닮았다. 그가 쓴 소설 속 문장은 과학의 언어처럼 상징성과 추상성, 모호성이 배제되고 명징함을 추구한다. 김훈의 삶과 ‘칼의 노래’ 김훈이 풀어낸 이야기보따리의 시작은 한국전쟁 피난지 부산이었다. 미군들에게 조롱당하며 얻어먹은 초콜릿의 무서운 맛의 충격, 할머니와 어머니와 비교되는 양공주의 치명적 아름다움(선생은 날카로움이라 했다), 어린 김훈으로선 도저히 알 수 없는 전쟁에 대한 두려움이 자신의 소설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했다. 작가가 수용소라고 표현한 대학에서 김훈은 19세 낭만주의 영시가 표방한 아름다움, 소망, 그리움, 동경, 열망, 그리고 신과 조화된 자연에 취해 있었다. 그러다 불현 듯 만난 책이 ‘난중일기’였다. 난중일기에는 영시의 낭만이 없었다. 거기에는 희망도 삶에 대한 보증도 전혀 없는, 강력한 적들의 공세에 전혀 의지할 데 없는 한 사내가 있었다. 김훈은 그 사내를 소설로 쓰고 싶었다. 그래서 40일 동안 쉼 없는 작업 속에 탄생한 것이 ‘칼의 노래’이다. ‘칼의 노래’에는 이념이나 가치를 담지 않았다. ‘칼의 노래’에는 이순신이라는 사내의 고독과 증오, 그리고 투쟁해야만 하는 고통을 담았다. 그 속에는 작가의 젊은 날의 경험도 부산에서 느낀 두려움도 들어있다. 동어반복이라는 똥통 언어에서 동어 반복은 똥통이다. 동어반복에 빠지면 새로운 표현으로 갈 수 없다. 작가에겐 ‘노랗다’와 그것의 사전적 정의인 ‘개나리꽃과 같이 밝고 선명하게 노르다’는 동어반복이다. 이 동어반복 속에서는 인식의 확장을 기대할 수 없고 매일 자신이 글쓰기에서 부딪치는 문제라고 했다. ‘정의란 무엇인가’와 ‘무엇이 정의인가’는 완전히 다른 표현이다. 전자가 정의에 대한 모호한 질문이라면 후자는 구체적 일상에서 현존하는 문제가 정의인지 아닌지를 묻는 것이다. 그래서 후자의 정의는 다양한 ‘정의’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전자의 질문은 동어반복에 빠져 더 이상 논리가 앞으로 나가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사실과 의견을 구분하라 작가는 언어의 과학화를 주문했다. 언어를 과학적으로 다룬다는 것은 주변을 과학적으로 보는 것과 같다. 주변을 과학적으로 보는 것은 저것은 무엇이고, 저것이 변하면 이것과 저것의 관계가 어떻게 변하는지 질문하고 해답을 모색하는 것이다. 언어의 과학화의 핵심은 의견과 사실을 구분하는 것이다. 그 언어가 자신의 욕망인지, 자신의 의견인지, 본 것인지, 들은 것인지 뒤죽박죽 섞여서는 절대 소통을 할 수 없다. 그런 경우 말은 소통의 도구가 아닌 단절의 도구일 뿐이며 사실을 왜곡하는 정치적 언어이다. 사실과 의견이 구분되지 않으면 소통도 할 수 없다. 서두에 작가는 비논리와 무질서, 엉망진창, 뒤죽박죽을 사랑한다고 했다. 그 무질서 속에 소설가적 상상력이 있으리라 생각했다. 그러나 강연 후의 느낌은 과학, 설득, 논리, 명징성이 더 잘 어울리는 과학자에 더 가깝게 보였다. 수개의 조사로 살림살이를 하고, 발표된 작품보다 앞으로 쓸 작품으로 평가받겠다는 대작가의 겸손함에 절로 머리가 숙여졌다.
UKC 2011 참가 (8.10~14)
우리 원이 US-Korea Conference (UKC) 2011 에 참가하여 기관 홍보 및 우수 인력 유치 활동을 하였다. 지난 8월 10일부터 유타주 파크시티에서 열린 UKC 2011은 재미 한인과학기술자협회 창립 40주년을 기념하여 많은 귀빈을 모시고 개최되었다. 문길주 원장은 40주년 기념 만찬에서 "We Together, to Create the Future"라는 주제로 과학기술 발전사와 창조적 미래 실현을 위한 'convergence' 에 대하여 강연을 하였다. 우리 원은 그 외에도 기관 소개 및 홍보 부쓰 운영 등 다양한 활동에 참가하였다.
CKC 2011 참가 (8.7-8.9)
우리 원이 Canada-Korea Conference(CKC) 2011에 참가하여 우수인력 유치 및 기관 홍보 활동을 하였다. 문길주 원장은 기조연설에서 "New Partnership for Changing Society : Korean-Canadian S&T Cooperation"을 주제로 한국 및 KIST의 발전사와 한-캐나다 협력을 위하여 노력할 것을 당부하였다. CKC는 재캐나다한인과학기술자협회(AKCSE)의 창립 25주년을 기념하여 제 1회 열리는 행사로, 캐나다 벤쿠버에서 8월 7일부터 9일까지 개최되었다. 우리 원은 CKC 2011에서 기조연설 발표 및 기관 소개 발표, 홍보 테이블 운영 등 홍보 및 우수인력 유치를 위한 다양한 활동에 참가하였다.
구글 염동훈 전무 창의포럼 개최(7.20)
구글의 조직이 비대해지면서 관료주의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훌륭한 인재들이 페이스북으로 이직하고 있다는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오늘 특강을 하러 온 염동훈 전무도 이점을 지적했다. 그러나 염동훈 전무의 강의를 듣고 나서 구글은 아무리 비대해지더라도 절대 변하지 않는 구글만의 DNA, 혁신을 향한 구글러의 열정만은 관료주의의 거대한 장벽도 가둘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았다. 강력한 비전과 핵심가치를 만들어라 애플의 성공신화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을 많은 경영전문가들은 애플의 CEO 스티브 잡스가 구성원들에게 전파하는 강력한 비전이라고 설명한다. GE의 전 CEO 잭 웰치 회장도 “나는 내가 어디로 가는지 알고 있고, GE의 전 구성원은 내가 어디로 가는지 알고 있습니다” 라며 강력한 비전과 그것의 공유를 리더의 첫 번째 역할로 꼽았다. 구글의 미션과 비전은 의외로 간단하다. Users가 세상의 모든 정보를 접근할 수 있고 의미 있게 사용하게 하는 것, 그리고 그것이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고 비록 단기간에 수익성이 없더라도 세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 된다. 구글의 미션과 비전을 뒷받침하는 핵심가치를 염동훈 전무는 크게 8가지 'Great people, Technology innovation, Fun, You are Google, users, supports the communities, improve and change the world, don't be evil' 핵심적인 단어와 문장으로 설명했다. 특히 염동훈 전무는 ‘supports the communities’를 설명하면서 일본 대지진 발생시 친지들의 생사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 ‘person finder'을 만든 것과, 이집트 시민혁명의 기폭제 역할을 한 웨일 고님이 구글러라는 사실을 강조하며 핵심가치의 중요성을 설파했다. Innovation not instant perfection 염동훈 전무는 구글의 조직문화를 짤막한 키워드로 설명했다. 작은 조직, 창의적 문제해결, 빠른 실행, 새로운 관계형성, 남에 대한 존중, 윤리적 실행, 더 나은 세상. 혁신과 창의성을 북돋는 구글 조직문화의 기본은 공유라고 했다. 비디오 컨퍼런스를 통해서 구글 CEO 래리 페이지는 경영실적과 회사의 주요정책 방향을 늘 전 직원들과 공유하고 토론한다. 최고의 유기농 식단으로 제공하는 식당의 식사자리도 다른 직원들과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주요 중역들이 자신의 방을 나와서 회사의 주요한 이슈들에 대해 서로 논의할 수 있게 주 1회 반나절 이상 같은 공간에서 지내야 한다. 이런 소통과 공유가 구글의 창의성과 혁신을 이끈다. 구글은 구글러가 될 수 있는 훌륭한 사람만 채용한다. 구글러의 자질 중에 최상위를 점하고 있는 것도 모든 아이디어를 받아들이고 공유할 수 있는 자세이다. 혁신은 한순간에 완성되지 않는다. Small Team에서 아이디어를 만들고, 철저한 상호토론과 아이디어 교류를 통해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더 큰 기술로 만들어 낸다. 그 프로젝트가 실패했더라도 그 기술은 사장되지 않는다. 無用之用처럼 다른 쓰임이 있기 때문이다. 구글은 작게는 사용자의 마음을 얻고 크게는 사람의 삶은 개선하고 세상을 변화시킨다는 꿈과 비전을 가지고 있다. 이런 구글의 경영철학을 전 직원이 공유하고 한방향으로 몰입한 결과 현재의 강력한 구글이 되었다. 전 직원이 공유할 수 있는 강력한 비전, 이를 위한 빠른 실행 이것보다 더 좋은 조직문화는 없다.
기술행정원 워크숍(6.23~24)
2011년 기술행정원 워크숍이 이틀간(6월 23일~24일)의 일정으로 본원과 강릉분원에서 진행되었다. 첫째 날 일정에서 문길주 원장은 후배들에게 좋은 연구소를 물려줄 수 있도록 ‘우리가 주인이다'라는 주인의식을 가져줄 것을 당부했다. 그리고 ’내 스스로 조금씩 변화하면 KIST도 종국적으로 변화할 것이다‘라면서 변화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강릉분원에서 이어진 분임토론에서 ’나는 누구인가‘, ’나에게 100억원이 생긴다면‘, ’늙어서 해야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분임토론을 진행했다. 분임토론 후 이어진 특강에서 한근태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는 주역의 ’음중양, 양중음‘ 인용하면서 좋은 일 안에 나쁜 일이 숨어있고, 나쁜일 안에도 좋은 일의 있다면서 본인이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따라서 삶이 달라진다면서 삶과 일에 대한 자세가 중요하다고 했다. 2일차는 오죽헌 시립박물관에서 정항교 관장으로부터 ’신사임당의 예술세계‘라는 주제로 특강을 들었다. 신사임당은 현모양처가 아닌 역사상 최고의 여류예술인이라며 신사임당에 대한 재해석을 강조했다. 첫날밤 강릉분원 연수원에서 제의한 건배사 ’우리가 주인이다‘가 귓가에 생생하게 남아있다. 후배들에게 좋은 연구소를 넘어 위대한 연구소를 물려주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겠다는 다짐일 것이다.
한예종 박재희교수 창의포럼 개최(6.22)
많이 만나야 한다. 통섭과 융합도 결국은 만남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과거와 현재가 시간을 초월해서 만나고, 자신의 그릇을 비우고 남의 생각을 채우고, 같은 꿈과 비전을 찾아서 만나고, 이런 만남과 교류 속에서 융합과 통섭이 이루어진다. 과거의 지혜인 고전과 미래의 지혜가 되기 위해 정진하는 과학자들의 만남도 공자의 말씀인 ‘登泰山小天下’처럼 새로운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통섭의 출발이다. 공자의 君子固窮 박재희 교수는 논어의 핵심이 군자고궁이라고 했다. 군자는 어려운 상황에서 더욱 단단해지는 사람이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새로운 답을 찾기 위해 자신을 연마하는 과학자도 논어의 군자고궁 철학과 일맥상통한다고 한다. 그리고 군자의 3가지 즐거움은 ‘學而時習’, ‘有朋方來’, ‘不知不慍’이라고 했다. 배우고 실천하는 것은 군자가 평생 지녀야 할 포기할 수 없는 최고의 가치이다. 그리고 有朋은 비전과 꿈을 공유한 同志이다. 맹자는 이런 동지를 만나기 위해서는 나이를 잊고, 지위를 잊고, 배경을 잊어야 한다고 했다. 나이의 많고 적음, 지위의 높고 낮음, 집안의 배경의 차이를 넘어서야만 진정한 동지가 될 수 있다고 한다. 노자의 反自道之動 노자의 반자도지동은 역발상이다. 지식을 채우기 위해서는 채우려고 하기 보다는 비워야 한다. 남들에게 섬김을 받으려면 오히려 남을 섬기는 서번트리더십이 필요하다. 노자 사상의 핵심인 無爲自然은 억지로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하게 만드는 것이다. 타율적으로 하게 만들면 단기간에는 성과를 낼 수 있을지라도 그 효과는 오래가지 못한다. 직원들이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바로 무위자연의 핵심이다. 박재희 교수가 노자의 철학에서 마지막으로 강조한 것은 大器晩成이다. 대기만성은 큰 그릇이 만들어진 것이 아니란다. 큰 그릇이 만들어지는 순간 그것은 이미 큰 그릇이 아니기에 대기만성은 큰 그릇을 만드는 과정이며 Great가 아닌 어제보다 더 나아지는 better의 의미이다. 장자의 無己 논어의 군자, 노자의 성현에 대비되는 개념이 장자의 眞人이다. 장자의 진인은 자신의 아집과 편견, 자기관념의 틀을 깨고 참된 나의 눈으로 세상을 보는 것이다. 여름 곤충은 찬 겨울을 알 수 없고, 우물 안 개구리는 바다를 알 수 없고, 향촌의 지식인은 진정한 세상을 알 수 없다. 시간과 공간, 지식을 틀을 뛰어넘어 평정한 상태의 참된 나를 찾아야 한다. 장자의 진인, 진정한 최고는 木鷄之德의 고사에서 알 수 있다. 자신이 제일이라는 교만함을 버리고 남의 소리와 위협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으며, 상대방에 대한 공격의 눈초리를 버리는 최고의 싸움 닭 목계지덕이야 말로 진정한 진인이다. 한비자의 守株待兎와 맹자의 大丈夫 한비자의 행복은 변화이다. 박재희 교수는 수주대토와 궁녀 미자하의 후회를 예들 들면서 과거의 익숙함, 관습에 안주하는 순간 살아남을 수 없다고 했다. 불확실성한 시대에 생존하기 위해서는 항상 긴장을 유지하고 새로운 변화를 시도해야 한다는 것이 한비자의 가르침이다. 맹자의 대장부는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한결같은 마음이다. 不動心이 생성되려면 浩然之氣의 정신적 에너지가 충전되어야하고, 이익 이전에 옳음을 선택하는 의로움이 있어야 한다(先義後利). 나와 나의 연구팀이 당장은 이롭지 않더라도 동지들이 선택이 의롭다면 결국 장기적으로 KIST에 이로운 것이다. 고전 내인생의 네비게이션 고전이 우리에게 무엇일까? 박재희 교수는 수천년전 성현들이 주시는 삶의 지혜이자,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삶의 좌표를 주는 인생의 네비게이션이라고 했다. 자녀들에게 물려줄 가훈은 아니라도 우리 삶의 네비게이션이 되는 고전 경구하나, 네비게이션에 목적지를 입력하듯 가슴 속에 새겨두면 어떨까! 博學之(박학지), 審問之(심문지), 愼思之(신사지), 明辨之(명변지), 篤行之(독행지). “널리 배우고 자세히 물으며 신중하게 생각하고 밝게 변별하며 독실하게 행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