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
게시물 키워드""에 대한 9480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KIST 고객만족(CS, Customer Satisfaction) 교육 실시(6.15)
고객지향적 업무수행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2010년 KIST 고객만족(CS, Customer Satisfaction) 교육'이 6월 15일 KIST 국제회의실에서 실시되었다. 조인컨설팅의 ‘임미연’ 원장을 초빙하여 진행된 이번 CS교육은 행동유형진단 프로그램인 ‘DISC’의 진단을 통해 본인의 행동유형을 진단해 보고 고객들의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그 응대 요령 등을 살펴보았다. 본 교육은 고객접점 업무 수행자의 고객만족 마인드 함양시키고, 고객만족을 통해 대외에 KIST의 긍정적 이미지 제고시키는 한편, 원내직원 간에 친절도를 향상시켜 원활한 업무협조 분위기를 조성하겠다는 취지로 마련되었다.
KIST-Weizmann 연구소 MOU 체결
우리원과 이스라엘 Weizmann 연구소가 6월 9일 MOU를 신라호텔에서 체결했다. 이스라엘 Shimon Peres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치뤄진 이날 MOU 체결식에서, KIST 부원장과 Weizmann 연구소 기술이전 부원장이 각각 싸인을 하였다. 본 MOU는 지난 1월 한-이스라엘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신재생에너지 분야 협력사업의 후속조치 일환으로 준비되었으며, 양국의 대표적 과학기술 연구기관인 KIST와 Weizmann 연구소의 협력활동으로 한국과 이스라엘의 과학 발전과 에너지 문제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스라엘 Weizmann 연구소 부원장 방원(6.10)
이스라엘 Weizmann 부원장 Professor Mordechai Sheves가 6월 10일(목) 우리원을 방문하였다. 6월 9일 KIST와 Weizmann연구소 MOU 체결 후 방문한 Professor Mordechai Sheves는 두 기관간의 신재생에너지분야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오는 10월 양기관간의 공동 workshop을 개최하기로 합의하였다. 이후 이어진 한홍택 원장과의 오찬에서는 공동 Workshop 뿐 아니라 인력교류 등의 추진을 의논하였다.
기관과학기술앰배서더 (6.10)
우리원은 6월 10일(목) 연료전지센터 홍성안 박사의 ‘미래에너지와 에너지안보’라는 주제로 나곡중학교 학생40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관 과학기술앰배서더’ 행사를 가졌다. ‘기관 과학기술앰배서더’는 한국과학창의재단이 교육과학기술부의 후원 아래 청소년과 일반 국민들이 과학기술자와의 만남을 통해 과학기술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과학에 대한 심리적인 거리감을 해소하는 등을 목적으로 2002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과학대중화 프로그램이다. 각 분야별로 대표적인 연구기관을 기관 과학기술앰배서더 기관으로 지정하고, 기관 과학기술앰배서더 지정 연구기관에 근무하는 과학기술앰배서더가 학생들을 초청하여 연구시설 견학 및 현장에서 생생한 강연(또는 실험, 실습)을 수행함으로써 입체적인 과학강연의 전형으로 자리잡고 있다.
짐바브웨 과학기술개발부 장관 방원(5.27)
짐바브웨 과학기술개발부 장관 일행이 5월 27일(목) 우리원을 방문하였다. 이번 방문에서 Heneri A M Dzinotyiweyi 장관은 SIRDC(과학산업연구개발센터)를 소개하고 SIRDC 중심으로 협력이 진행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한홍택 원장은 IRDA 과정을 소개하고, 짐바브웨에서 연수생이나 IRDA 학생으로 한국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향후 KIST 전문가를 파견하여 상호 이해를 높이는 방향으로 협력을 추진하자고 제안하였다.
말레이시아 Technology Park Malaysia 방원(5.25)
말레이시아 Technology Park Malaysia(TPM) 회장 및 임원단이 5월 25일(화) 우리원을 방문하였다. 체어맨 YB Dato' Nasarudin Hashim 및 CEO YBhg. Dato' Hj. Mohd Azman Hj. Shahidin 등 임원단은 한홍택 원장과의 면담에서 기술사업화 관련 협력방안과 말레이시아에 풍부한 천연물을 활용하는 공동연구 등을 논의하였다. KIST와 TPM 는 MoU를 체결하기로 하고, 강릉분원과의 협력방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하였다
정원용 박사, KIST 전북분원장 취임(5.26)
우리 원은 전북분원 제2대 분원장 정원용(鄭元容) 박사의 취임식을 5.26(수) 오전 11시 전라북도 도청 회의실에서 한홍택 원장, 이경옥 전라북도 부지사, 오규삼 완주군 부군수를 비롯한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개최했다. 정원용 분원장은 1978년 KIST 입소한 이래 지난 22년간 금속연구센터장, 한·중신소재공동연구센터장 등을 역임한 바 있으며, 정보소재합성기술개발사업단 단장, 한국자기학회 부회장, 부품소재산업의 금속분야 기획위원등 활발한 대내외 활동을 해온 금속 분야의 전문가이다. 정 분원장은 취임사에서“향후 전북분원이 지역사회로부터 사랑받는 연구소가 되기 위해서는 피부에 와 닿는 연구성과를 내야할 것”이라며, 명확한 사업목표와 함께 연구 단계부터 시장성을 고려하는 연구를 추진할 것임을 밝혔다. 취임식에 참석한 KIST 한홍택 원장은 격려사에서 전북분원이“지역사회와 상생과 협력을 통해 전북도내 중추적인 연구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을 주문했다. 한편, KIST 전북분원은 21세기를 이끌어갈 신소재로 각광받고 있지만, 현재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탄소소재 기술을 자체 개발한다는 목표를 갖고 세워진「복합소재기술연구소」다. 연구소 완공 시기인 2012년까지 기본연구 수행을 위해 전북 완주군내 전북 테크노파크 연구동 1,2층(면적:1,134m2)에 임시 연구실을 마련하고 8명의 박사급 연구원을 비롯해 총 18명의 연구원들이 전북지역 산·학·연 기관들과 공동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KIST 전북분원은 전북대, 전주기계탄소연구원(JMC), 효성, 현대자동차, LS엠트론 등과 함께‘나노기반 탄소계 복합기능 섬유소재 기술개발’에 대한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전북도내 관련 연구기관과 2011년부터 5년간 1,97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대형 국책연구사업인‘탄소밸리 구축사업’에 공동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또한 전북대, 전주대, 군산대 등과 학·연 협동 석·박사 과정을 공동 운영해 지역사회의 대학과 인력, 장비 등을 공동 활용해 우수한 과학기술 인재를 양성할 계획도 갖고 있다.
노벨화학상 수상자 Ada Yonath 박사 초청 KILIS Forum 개최(5.19)
생명보건본부는 2007년부터 월례적인 세미나로 KILIS (KIST LIfe Science) 포럼을 개최하여 왔다. 2010년 5월 포럼은 19일 오전 11시 KIST 존슨강당에서 “2009년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이스라엘 Weizmann Institute of Science의 Ada Yonath 교수를 모시고 개최하였다. 포럼은 연구원의 전문성 심화 및 연구원간 그리고 외부연사 와의 네트워크 형성이라는 취지로 연자를 섭외, 진행하여 왔다. 5월 포럼은 연자가 노벨 수장자이기에, 특별히 미래 한국 과학의 꿈나무인 서울과학고 1학년생 120명과 교사 10여명을 홍보팀에서 초청하여 노벨상 강연을 청강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원내에서는 약 200여명의 연구자들이 참석하여 요나트 교수의 명강연을 경청하였다. 발표 내용은 비록 텍스트적이었지만, 세포내에서 단백질의 제조공장인 리보좀의 구조 및 기능, 그리고 항생제가 어떻게 단백질합성을 저해하는지, 등을 캐릭터와 동영상을 보여주면서 명쾌하게 설명하여 주었다. UST 과정의 이 훈 학생은 “두 개의 리보솜을 이용해서 본인의 머리모양을 한 캐릭터를 재미있게 그려내 보여줄 때는 실패를 낙천적으로 받아들일 줄 아는 마음이 있었기에 복잡한 리보솜의 메커니즘을 밝혀낼 수 있었겠구나”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많은 고무가 되었다고 포럼 후 소감을 말 해 주었다. 포럼 행사가 끝난 뒤에 질문자들이 줄을 잇기 시작하였고, 특히 과학고 학생들이 요나트 교수를 붙잡고 놓아 주지 않아 당혹스럽기도 하였지만 만족스러운 포럼이었다. 요나트교수도 미래과학자의 관심에 싫지는 않은 표정이어서 즐거운 포럼을 성황리에 개최하였다고 자평한다. 시대를 쫓아가는 연구가 아닌 한가지의 토픽에 몰입하여 한 분야에서 최고가 된다면 우리나라에서 과학 분야의 노벨상이 곧 탄생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제2회 KIST-고려대 청소년 과학스쿨(5.19)
=== 과학고 학생 등 초청, 미래 과학자 현장 체험 프로그램 === KIST와 고려대는 작년에 이어 공동으로, 저명 과학자의 강연을 듣고 이공계 교육 및 연구현장을 방문 체험할 수 있는「제2회 KIST-고려대 청소년 과학스쿨」을 5월 19일 경기북과학고등학교 및 하나고등학교 학생 180명을 초청하여 개최하였다. 양 기관 캠퍼스에서 8시간 동안 진행된 과학스쿨에서 학생들은 신희섭 KIST 박사의 ‘돌연변이 생쥐를 이용한 뇌 연구’, 도낙주 고려대 교수의 ‘다가오는 로봇 세상’ 강연을 듣고 주요 실험실 및 전시관을 방문, 과학자들이 연구하는 모습을 현장에서 체험한 후 양 기관장 공동명의의 수료증을 수여 받았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지리적으로 인접한 KIST와 고려대가 공동으로 기획, 주최하는 청소년 과학스쿨은 출연연과 대학이 함께 과학대중화를 위해 협력하는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양 기관은 본 행사를 매년 과학의 달에 정례화 할 예정이다.
‘KIST 기술전 2010’개최(5.25)
- 컨소시엄 포럼 및 녹색기술이전 설명회 - KIST-산업계간 공동 연구개발 및 녹색기술 이전을 중심으로 하는 「KIST 기술전 2010」이 5월 25일 원내 국제협력관에서 개최됐다. 우리 원은 이번 기술전을 산업과 시장의 급격한 환경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산업계와의 개방형 혁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컨소시엄 포럼과 녹색기술 분야 우수기술 이전 설명회로 구성하여 개최하였다. 컨소시엄 포럼을 통해서는 KIST와 기술개발 방향이 일치하는 국내외 기업과 컨소시엄을 통해 상용화 R&D 공동협력, 기술문제에 대한 지원과 상호협력 방안을 논의했으며, 녹색기술 이전 설명회에서는 에너지, 환경, 재료․소자, 천연물 분야에서 KIST가 보유한 17개 유망기술(목록 첨부)에 대한 기업체 공개 설명회와 기술이전 상담을 실시했다. 설명회에 발표되는 기술들을 살펴보면, 최근 화두로 떠오른 녹색기술 분야인 만큼 기업들이 흥미를 갖고 미래 유망사업화 아이템으로 검토해 볼만한 친환경 대체에너지, 환경․보건 기술을 다수 발견할 수 있다. 이 가운데 군사용 통신장비와 민간․레저용 무전기 등에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휴대용 연료전지 파워팩’과 태양전지, 유리창호, 자동차 선루프, 밧데리 충전기 등에 활용할 수 있는‘고효율 염료감응 태양전지’등을 눈여겨 볼만하다. 이 외에도 상온 촉매 산화원리로 오존 및 알데히드 등 2차 오염 물질이 발생하지 않는‘실내공기 유해물질 상온 정화 기술’, 가솔린, 디젤, 항공유를 단일 바이오연료로 대체할 수 있는‘다목적 친환경 에너지 기술’이나‘박테리아 균주를 이용한 천연물 항암 소재 기술’등 사업화가 유망한 기술들이 다수 소개된다. 100여 곳의 국내 대기업, 중견․중소기업의 CEO/CTO 등이 참석한 이번 행사에는 신미남 (주)퓨얼셀파워 대표가 초청연사로 참여해 기업가 정신에 대해 특별강연 시간을 가졌다. 한홍택 원장은“향후에도 KIST는 기업체가 참여하는 포럼을 통해 보유기술을 설명하고 기업의 기술수요를 청취하고 보급하는 활동을 꾸준히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혀 연구성과 사업화 등 KIST를 ‘과학기술의 기업가 정신의 산실’로 거듭나게 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한편, 우리 원은 2009년부터 개최해 온 ‘KIST 기술전’을 향후 연 2회 정기적으로 개최될 예정이며, 올 하반기(11월)에는‘실버 기술’이라는 주제로 추진해 개방형 혁신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기술이전 설명회 발표기술 목록 분야 발표 기술 에너지 분야 ◦ECR상온화학증착공정기술에 의한 ITO대체 투명플라스틱필름 전극 ◦휴대용 연료전지 파워팩 ◦고효율 염료감응 태양전지 기술 ◦리튬2차전지용 전이금속산화물 음극소재 개발 ◦리튬2차전지용 저가 양극 소재 개발 ◦C6기반 다용도 바이오연료 생산기술 환경 분야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CSOs) 저류 및 처리기술 ◦수중의 인 회수 및 재생용 이온교환소재 ◦실내오염공기 중 유해물질 상온 정화처리 기술 및 장치 ◦합성가스 혼소기술을 이용한 폐기물의 에너지 자원화 재료․소자 분야 ◦알루미늄 실리콘계 주조합금 PEO 기술 ◦나노기공성 전극을 이용한 음극지지형 저온작동 고성능 박막 전해질 SOFC 개발기술 ◦SPR 센서칩/센서 기술 천연물 분야 ◦비만/당뇨 개선 식의약소재 (동물용 비만개선 소재) ◦항암활성 천연물소재 개발 ◦산채류 유래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 기술 ◦망막질환 예방 및 치료용 오죽 추출물 ◦초고압 처리를 통한 십자화과 채소의 활성성분 증폭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처리된 십자화과 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