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
게시물 키워드""에 대한 9490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출연(연)의 자발적 협력과 노력으로 한국형 달탐사의 미래를 밝히다(2015.03.15)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회장 이병권(KIST), 이하 과출협)는 한국형 달탐사사업의 선행연구로 추진한 ‘달탐사 협력·융합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본 과제는 2014년 1월부터 15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 등이 참여하여 달 탐사선, 탑재체, 심우주 지상국, 달 탐사 로버 등 4개의 세부과제로 추진되었다. 특히, 본 과제는 향후 추진될 국책연구사업인 한국형 달탐사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하여 직접비 73억원의 출연(연) 대규모 자체재원으로 자발적으로 추진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지난 1년간 본 과제를 통해 많은 성과가 창출되었다. 먼저, 한국형 달탐사사업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사전에 파악하고 이에 필요한 연구방향을 명확하게 정립하는 데 기여하였다. 특히 국내 출연(연)이 보유한 기술 가운데 한국형 달탐사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구체적으로 파악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을 만 하다. 보다 구체적인 성과로는 우주용 2차 전지 핵심기술, 경량화 연구 등 탐사선에 적용가능한 기술분야(책임기관:항우(연)) 및 고해상도 카메라 등 탑재체 핵심기술(책임기관:천문(연))을 확인하였으며, 달탐사 심우주 안테나 개발을 위한 규격 설계와 핵심관제기술 분석(책임기관:ETRI) 및 심우주 지상국 개발 및 운용에서의 NASA와 국제협력을 위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또한, 달환경에 견디는 더블바디메커니즘 설계 및 달탐사 로버 기술 검증모델(책임기관:KIST)을 개발하는 등 큰 성과를 거두었다. 본 과제는 본격적 국책 예산이 확보되기 전단계에서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와 과출협이 머리를 맞대고 대형국책사업인 한국형 달탐사사업을 어떻게 국가적 과학기술 역량을 결집하여 수행할 것인지 고심하여 나온 결과로, 정부와 출연(연)의 적극적 소통을 통해 국가적 문제해결을 위하여 출연(연) 스스로가 역량을 결집하여 융합·협력모델을 만들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과출협 이병권 회장은 “달탐사는 국가가 가진 과학기술력을 총집결해야 하는 진정한 의미의 융합이 필요한 대형 프로젝트로, 출연(연)이 국가적 미션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발적인 협력모델을 창출하였다는 것만으로도 큰 성과라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올해에도 항우(연)을 주축으로 각 참여기관의 자체 재원을 활용하여 1차년도 협력융합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달 탐사에 적용 가능한 강점기술을 보다 발전시키고 달 탐사 적용가능성 검증을 위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문해주 미래부 우주원자력정책관은 “15개나 되는 출연(연)이 자발적으로 협력하여 소정의 성과를 달성한 점이 매우 고무적이며, 기관간 협력의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면서, “올해도 융합연구를 지속 수행하게 되어 성공적인 달 탐사 사업 수행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내년 예산을 반드시 확보하여 출연(연)들이 안정적으로 연구에 매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과출협은 51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기관(이하 출연기관)의 공동관심사에 관한 협의 및 상호 협력도모를 위해 설립된 기관장 협의체이며, 25개 과학기술 정부출연(연)들의 부원장/선임본부장의 협의체인 출연(연) 발전위원회를 통하여 출연(연)간 협력·융합과제를 자체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출연연 관련 현안에 관한 직원 간담회 개최
우리원은 6월 9일(월) 오전 KIST죤슨강당에서 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최근 출연연 관련 현안에 관한 직원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이날 행사에는 주요기관 운영 사항에 대한 원장의 발표에 이어 직원들과 질의응답하는 자리를 갖고, 최근 정부의 공공기관 구조조정 개혁안과 관련하여 그동안 추진되어온 출연연 관련 정책과 KIST의 현황 및 운영 계획, 그리고 KIST가 추진하고 있는 미래 성장기반 확충 노력 등에 대해 전직원이 함께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금동화 원장은 출연연 관련한 최근 상황에 동요하지 말고, 기관 운영의 글로벌화와 첨단원천기술 분야 연구활동에 보다 매진함으로써 세계적인 연구소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로 삼자고 당부하였다.
출연연 원천기술 창업으로 싹 틔우다
- 창업유도형 R&D 사업 수행을 통한 창업기업 3개 社설립 및 초기투자유치 - 창업아카데미 런칭, 민간전문가 협력을 통한 한국형 창업생태계 구축 추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윤석진)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창업유도형 연구개발 과제인 ‘바이오스타’ 사업 수행의 결과로 기술출자 회사 3개사(㈜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박찬선 대표), ㈜바이오소닉스(신경식 대표), ㈜메디케어텍(전한용 대표))를 설립하였으며, 창업 초기 약 33억 원 규모의 투자유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창업이전부터 민간투자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꾸준히 창업기술과 아이템을 숙성시키고, 사업적인 역량을 키우는 등 출연연과 예비창업자, 민간전문가가 함께 협력하여 지원했던 3개의 예비창업팀을 모두 창업으로 이끌어내고 초기투자를 성공시켰다는데 의미를 둘 수 있다. KIST는 이러한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과기정통부 바이오스타 사업 수행을 통해 바이오분야 창업에 정통한 외부전문가를 사업기간동안 KIST 연구원으로 채용하고, 창업활동에 몰두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연구개발 측면에서는 연구자 매칭, 연구공간 및 사무공간 제공, 연구시설 장비제공 등을, 사업화와 관련해서는 특허포트폴리오 구축, 창업팀빌딩, 사업계획수립, 투자계획수립, 마케팅 전략, 상표출원 및 등록 등을 투트랙으로 지원하였다. 해당 사업으로 외부전문가로 선발된 ㈜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 박찬선 대표는 KIST 화학키노믹스연구센터 한서정 박사와 항암제를, ㈜바이오소닉스 신경식 대표는 KIST 뇌과학연구소 강지윤 박사와 알츠하이머 조기진단 키트를, ㈜메디케어텍 전한용 대표는 KIST 헬스케어로봇연구단 김천우 박사와 이비인후과용 의료기기를 각각 개발해왔다. 이와 동시에 창업에 필수적인 창업 기반 기술(특허)의 포트폴리오 구축, 사업계획 수립, 창업팀 빌딩, 투자유치계획의 수립 등 사업화 활동을 병행 지원한 결과 3개의 창업기업은 국내 대형 투자사인 H사의 투자를 비롯하여 홍릉 클러스터 창업기업 육성을 위해 결성된 ‘ 홍릉특구펀드 : KIST, 홍릉지역 대학, 중견기업, 지자체가 결성한 국내최초 출연연 주도의 과학기술창업 특화 펀드(운용사 케이그라운드벤처스) 홍릉특구펀드’ 등으로부터 33억 원 규모의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이 외에도 KIST는 제도의 개선, 민간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한 직접사업화, 즉 창업을 기술사업화의 중점목표로 설정하여 추진해왔으며, 특히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성과창출을 목표로 이마고웍스는 19년 11월에 설립, TIPS투자를 비롯하여 국내 탑티어 투자기관으로부터 35억원 규모의 시리즈A를 유치 ㈜이마고웍스, ㈜엔엠디바이오, ㈜시프트바이오 등 바이오분야 전문기업을 포함하여 2020년에만 KIST는 2014년부터 2020년까지 24개의 기업을 설립(과거 15년 간 15개 기업설립), 창업의 양적 성장을 창출 7개의 기업을 설립하였다. 이러한 직접사업화의 시도는 기존의 기술이전 방식(공급자중심, 일회성)에서 탈피하여 출연연과 창업기업, 민간투자기관이 함께 기업성장의 책임을 분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라고 볼 수 있다. ㈜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 박찬선 대표는 “바이오스타 사업을 수행하며 창업을 준비하는 동안 초기기업으로서 많은 역경을 겪었지만, KIST의 적극적인 지원덕분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향후 한서정 박사 연구팀과의 지속적인 협력연구를 통해 추가 기술이전 등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KIST 윤석진 원장은 “2021년에는 그 동안 KIST에서 추진해오던 창업지원 프로그램과 역량을 집중해 한국형 창업 생태계의 새로운 모델인 창업 아카데미를 출범시키고, 나아가 인근 대학 및 병원, 연구소 등 지역 유관 기관 및 민간 투자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홍릉을 미래 바이오·의료산업을 견인하는 혁신 클러스터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KIST는 지난해 8월 홍릉강소특구 지정과 동시에 기술 핵심 기관(KIST, 경희대, 고려대) 중심의 클러스터형 홍릉펀드 결성, 홍릉투자기관협의체(국내 다수 투자기관 참여 및 창업기업 사업화 지원 추진) 창업생태계를 구축 또한 추진하고 있다. 인턴형 창업 교육, 오디션형 창업경진대회 심사역을 투자기관이 수행, 예비창업팀에 대한 멘토매칭을 통해 창업 시 초기투자 확정 연계 창업경진대회, 전방위 창업컨설팅, 확정적 투자연계를 골자로 하는 창업 아카데미 런칭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그동안 산발적으로 진행되었던 창업기업 투자유치, 마케팅활동 지원, 창업 지원사업 등을 프로그램화하여 창업기업의 안정적 성장을 지원할 예정이다.
출연연 유일 ‘차세대 마그네슘 이차전지’연구하는 사람들, 학계 논란 종지부 찍었다
임희대 KIST 박사팀, 마그네슘 금속 수지상 덴드라이트 실시간 확인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acc9815-9e96-4e70-9cd9-43f09aa3bdda"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덴드라이트 성장 막는 획기적인 방법 찾아...차세대 이차전지 가능성 확인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983bd90b-5d70-4c10-be19-510b531a3b99"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외롭지만 틀 없는 연구, 새로운 거동 발견에 즐거워"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d0b97880-1ec2-4ff2-98ac-78a47cf90526"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c2adbc53-b2ae-458d-acba-18ae61455f5b"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2020년 초, 마그네슘 금속 기반 차세대 이차전지를 연구하던 배터리 학계에 논쟁이 일었다. 지난 수십 년간 마그네슘 금속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고 알려진 '덴드라이트'가 연이어 보고된 것이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b94a91d5-44fa-44fb-a458-975f312e08e4"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a01ac6c6-d087-4763-ae25-8e58c6ad22cd"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덴드라이트란, 배터리 충전 과정에서 금속 음극 표면에 쌓이는 나뭇가지 모양의 결정을 말한다. 덴드라이트 형태가 형성되고 성장하면 배터리 성능이 저하된다. 뿐만 아니라 덴드라이트가 계속 자라 반대 전극(양극)에 닿으면 화재가 발생해 이를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0dbb944b-923c-4d64-b5fb-f4502845628f"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a0f3f2f5-e38a-4f5b-9ca4-dfab99932960"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마그네슘 금속에서 '덴드라이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vs 발생한다'며 관련 학계가 논쟁에 휘말린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이를 정확하게 증명하는데 성공했다. 주인공은 임희대 KIST 에너지저장연구센터 박사팀이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4319ac0d-d3d9-4e26-8327-494a8e9b6f36"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dc433b41-7195-4c2a-adbe-3bf997dc318a"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임 박사는 마그네슘 금속에서 덴드라이트가 실시간 자라는 모습을 영상으로 촬영해 학계 논쟁에 종지부를 찍었다. 마그네슘 금속에서 덴드라이트 성장을 획기적으로 막아내는 방법을 발견해 마그네슘이 차세대 이차전지의 음극으로써 사용될 가능성도 확인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c4f46c31-1d6b-4421-ad95-42ee27361583"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d991ed2c-0161-4c7a-8a47-592e1b66f2c8"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KIST 에너지저장연구센터는 출연연 유일 차세대 마그네슘 이차전지를 연구하는 팀이다. 상용화까지 갈 길이 멀어 차세대도 아닌 '차차세대 배터리'로 불리는 마그네슘 이차전지에 그토록 의미를 두는 이유는 뭘까. 외로운 싸움을 하는 임 박사팀을 만났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d991ed2c-0161-4c7a-8a47-592e1b66f2c8"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마그네슘 이차전지, 안정성·저비용·친환경까지 잡는다 에어샤워 후 들어간 에너지저장연구센터의 실험실. 연구원들이 여러 개의 글로브박스를 활용해 바삐 연구하고 있다. 글로브박스가 많은 이유는 마그네슘 전지를 만드는데 필수이기 때문이다. 그는 "마그네슘 전지에 쓰이는 전해질은 리튬 전해질보다 해롭고 부식성이 강하다. PPM 단위의 수분도 마그네슘 전지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실험을 하기 위해서 마그네슘 전용 글로브박스는 필수품이다. 실험 전 글로브박스부터 내부 청소하는게 우리 일"이라고 말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e6667cac-7537-43c5-b3b7-66ef42ff29c2"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630b545b-dceb-4b0d-b72e-531ebb29d864"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차세대 이차전지는 현재 상용화되어있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를 대체할 미래 기술로 전고체 전지, 리튬-황전지, 금속공기전지 등이 주목받고 있다. 임 박사 역시 차세대 배터리 중 전고체 전지, 금속공기전지 등을 연구했지만 수년 전부터 마그네슘 이차전지에 전념하고 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852d01af-cf36-44db-8122-e319be4777c6"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f5702798-dbe1-4d08-b7b5-70aab04a4696"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마그네슘은 리튬보다 민감하고 만드는게 복잡해 사람 손을 많이 필요로 한다. 기초단계연구다 보니 당장 성과를 만들어 내기 어려운 분야기도 하다. 출연연은 고사하고 대학에서도 마그네슘 이차전지를 연구하는 개발자를 손에 꼽을 정도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2a8fc3de-b8d4-4d2a-8c22-bf3442f4b447"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b27b90d-c7cc-41cd-9bcb-a6b8682b6f6e"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KIST가 마그네슘 이차전지를 연구한 것도 그리 오래된 일은 아니다. 기관 고유사업으로 3년 전 처음으로 마그네슘 이차전지에 도전장을 내고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 중이다. 임 박사는 "리튬 이차전지는 40여 년간 연구한 기술 노하우가 많고 이미 산업화가 돼있어 어느 정도 정형화된 틀이 있지만, 마그네슘은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지 얼마 안 됐고 반응원리도 상당히 달라 어렵다. 정보교류도 힘들어 외로운 싸움이지만 정해진 틀이 없어 재밌기도 하다"고 말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b27b90d-c7cc-41cd-9bcb-a6b8682b6f6e"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b27b90d-c7cc-41cd-9bcb-a6b8682b6f6e"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마그네슘 이차전지는 안정성과 저비용, 친환경 등에서 장점이있어 상용화된다면 가치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b27b90d-c7cc-41cd-9bcb-a6b8682b6f6e"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그렇다면 왜 마그네슘 이차전지인가? 그는 안정성과 저렴한 가격, 친환경 등을 강조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61ad31ca-214b-49a3-8251-59c5846967a4"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afc9c260-bf20-4562-8aed-636dfad57626"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상용화된 리튬이온전지는 매장량이 한정된 리튬을 필수로 사용하며, 코발트 등 값비싼 재료를 포함한다. 또 리튬의 경우 물과 산소에 높은 반응을 가져 배터리를 감싸고 있는 외장재가 찢어지면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07637209-e8bf-4682-9bd4-aa9cf5df7e9a"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751a3f46-aa63-4efa-9dd4-0b83d15e2370"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반면 마그네슘은 지구상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원소이며, 가격이 저렴하다. (리튬 소재 대비 약 30배 정도 저렴한 것으로 알려진다.) 물과 산소와의 반응성이 상대적으로 작아 공기 중에서도 안전하다. 또 리튬배터리보다 저장 용량도 크다. 리튬배터리는 +1가로 음극↔양극으로 이동하는 이온 하나 당 전자가 하나씩 움직이는데 반해, 마그네슘은 다(多)가로 한 번에 많은 전자가 이동해 부피당 용량이 크다. 임 박사는 "마그네슘 이차전지를 만들기 위해 기술적인 난제가 있긴 하지만 개발이 된다면 가치가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3c9351d-29e3-4324-9078-5b1e78cbd37e"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3a075693-7ea0-4bf8-8a7a-18105e2c368d"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하지만 최근 들어 마그네슘 금속에서 없다고 알려진 덴드라이트가 보고되어 학계가 혼란에 빠졌다. 이를 명확하게 증명하고, 마그네슘 덴드라이트가 있다면 이를 억제시킬 방법을 개발하는 상황이 됐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eab33ee9-cd60-4978-b019-89ae543f1609"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b164c3c-0669-4e73-8c57-4c505a356739"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임희대 박사는 가시광선과 X-ray를 이용한 실시간(operando) 이미징 분석 기법을 통해 마그네슘 금속 전지의 덴드라이트 성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덴드라이트가 성장하는 전류, 전압, 수명 조건을 명확히 밝혔으며, 특정 전류 조건하에서 전지의 단락 (short-circuit)이 일어나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c053fdd1-c491-4e7c-915f-52fda645f391"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b6679524-c274-4280-a4bf-1ac9df06133e"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이와 더불어 금속 집전체에 마그네슘 친화성 물질 (소량의 금)을 코팅해 덴드라이트 성장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최초로 제시하였다. 불규칙하게 자랐던 마그네슘 덴드라이트가 금이 코팅된 집전체 위에서는 균일하게 자라며 성장이 효과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확인했다. 무질서하게 배열된 쇳가루에 큰 자석을 댔을 때 평평하게 붙는 것과 같은 원리라고 보면 된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b6679524-c274-4280-a4bf-1ac9df06133e"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b6679524-c274-4280-a4bf-1ac9df06133e"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center;"="" align="center"> 금 코팅을 하지 않았을 때와 금 코팅을 했을 때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 " id="SE-e7e4332c-87a9-47be-ac39-5f3bfb409208"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white-space:="" pre-wrap;="" text-align:="" center;=""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lign="center">마그네슘 성장 거동 차이를 나타내는 모식도와 실시간 X-ray 분석을 통한 결과.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b6679524-c274-4280-a4bf-1ac9df06133e" style="text-align: center; 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lign="center"> 소량이지만 금도 고가...더 저렴한 저비용 원소 찾았다 금은 고가지만, 덴드라이트 성장 억제에 필요한 양이 굉장히 소량이기 때문에 마그네슘 이차전지가 상용화된다면 가격 문제에서 리튬이온전지보다 효과가 좋을 것으로 기대된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675bd821-bd97-47c3-a61c-4362332a3fe9"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f5d6488b-b41d-47d2-8547-1a6eeeb18ab3"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하지만 그는 "금을 코팅하려면 금 스퍼터(Au sputtering) 장비를 써야 한다. 아무래도 장비를 쓰다 보면 제작 단가가 올라갈 수 있다. 금보다 더 저렴한 저비용 원소를 찾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저비용 원소를 찾기 위해 계산과학팀과 협업 중이다. 같은 방을 쓰는 류승호박사의 도움을 받고 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f5d6488b-b41d-47d2-8547-1a6eeeb18ab3"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f5d6488b-b41d-47d2-8547-1a6eeeb18ab3"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f5d6488b-b41d-47d2-8547-1a6eeeb18ab3"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그는 "최근 아연과 주석이 금과 비슷한 역할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증착 장비 없이 용액에 담그는 것만으로 코팅될 수 있도록 연구 중"이라고 설명했다.<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fd3e5d08-5b88-4a81-b6ea-7e52a6082542"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b669132c-fc59-4634-8b0c-d73eb3bdb4be"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초기의 전기자동차 모델은 자동차 가격의 절반가량이 배터리값이었다.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가격이 많이 내렸지만, 여전히 배터리값만 1천만 원이 들어갈 정도로 고가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515250b-2a4e-4d68-ab70-0cc1a5f4f83c"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e316d455-fcd0-4310-b032-1d73dc3e2e96"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임 박사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보다 30배 원재료가 싼 마그네슘 이차전지가 개발된다면 전기자동차 가격도 줄일 수 있으며,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차세대 마그네슘 이차전지는 연구 블루오션이기 때문에, 새롭고 재미있는 연구 결과가 많이 나올 것이다. 즐겁게 연구하면서 마그네슘이 정말 쓰일 수 있는 차세대 이차전지가 개발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e316d455-fcd0-4310-b032-1d73dc3e2e96"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e316d455-fcd0-4310-b032-1d73dc3e2e96" style="text-align: center; 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lign="center">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e316d455-fcd0-4310-b032-1d73dc3e2e96"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8;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본 연구 성과는 KIST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임희대 박사 및 고려대 유승호 교수팀의 공동연구결과이며, 국제 학술지 ‘ACS 에너지 레터스(ACS Energy Letters, IF: 23.101)’ 에 12월 8일 온라인 게재됐다. <div class="se-component se-text se-l-default" id="SE-0d81d294-e193-4f45-80bf-50d9fb9f2437" style="margin: 40px 0px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medium; line-height: inherit;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position:="" relative;=""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출연연과 기술이전 기업이 데스밸리를 극복하는 법
- KIST-㈜금양이노베이션, 상용화 애로사항 해소를 위한 링킹랩 설치 - 백금 함량 저감, 생산성 증대 연료전지 촉매 제조법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윤석진)은 ㈜금양 이노베이션(대표 장석영)과의 공동연구실인 링킹랩(Linking Lab)을 설치하고 현판 제막식을 가졌다. 링킹랩은 KIST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중소기업이 첨단기술을 상용화하는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새롭게 준비한 사업이다. 기술 수요자와 공급자가 같은 연구실에서 공동으로 연구함으로써 공급자는 적극적으로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수요자는 연구역량을 강화할 수 있게 해 상용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KIST-㈜금양 이노베이션 공동 링킹랩은 제도가 시행된 이후 설립된 첫 번째 사례로, 지난 ’20년 9월 KIST에서 ㈜금양에 기술이전한 ‘초소형 귀금속 나노입자 제조 기술과 전극 소재 및 흡착 소재’ 개발 기술의 상용화를 가속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이전된 기술은 에너지·환경 분야에 활용되는 귀금속 소재를 고른 크기로 초소형화 시키는 제조 기술로 대량생산이 용이하여 연료전지, 수전해, 배터리 등 차세대 친환경 소재 분야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금양은 ’20년 10월 자회사인 ㈜금양 이노베이션을 설립하고 지난 ’21년 4월 15일 장석영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을 대표로 선임하여 KIST와 전략적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장석영 대표는 “KIST와 같이 우수한 연구역량을 갖춘 출연연이 일회적인 기술이전에서 그치지 않고 기업 입장에서 후속 연구까지 지원하는 링킹랩과 같은 시도는 중소기업이 첨단기술을 상용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어 기대가 크다.”라고 말했다. KIST 윤석진 원장은 “이번 ㈜금양 이노베이션과의 링킹랩을 시작으로 출연연의 우수한 기술이 상용화에 성공할 수 있도록 향후 다수의 기업과 함께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라며, “이 밖에도 다양한 기업 지원방안을 지속적으로 고민하여 출연연이 가진 미래 핵심기술이 기업으로 이전되고, 최종적으로 상용화의 결실을 거둘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좌측부터) 하헌필 KIST 첨단소재기술연구본부장, 제해준 KIST 기술사업화전략본부장, 윤석진 KIST 원장, 허가현 KIST 극한소재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유덕영 (주)금양이노베이션 전무, 류광지 (주)금양 회장, 장석영 (주)금양이노베이션 대표
출입신청서
안녕하세요. 신규 인력에 대해 출입 카드를 신청하고자 하는데, 홈페이지 상에서 찾을 수가 없어 문의 드립니다. 인원 출입 카드 및 차량 출입 카드는 어디서 발급 받을 수 있을까요?
출입증 발급하는곳
출입증 발급하는곳 예의범절 교육필요 너무 거만하고 얼굴에 짜증이 한가득인데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좋게보일리 없음 다른곳들은 엄청친절한데 출입증 반납하고 기분더러워짐 인사도 안받고 출입증카드 한손으로 받고 젊은사람이 예의범절이 너무없네요 교육좀시키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