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
게시물 키워드"KIST"에 대한 4647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투명하고 휘어지는 초박막 메모리 소자 개발
- 육방정 질화붕소(h-BN) 사이에 0차원 양자점을 단일층으로 형성 - 80% 이상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휘어졌을 때도 메모리 기능 유지 이차원 나노소재 기반 플렉서블 메모리 소자는 데이터 저장, 처리, 통신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차세대 웨어러블 시장에서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수 나노미터(nm)의 2차원 나노소재로 초박막 메모리 소자를 구현할 경우, 기존에 비해 메모리 집적도를 크게 높일 수 있어 2차원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플렉서블한 저항변화형 메모리 등이 개발되어왔다. 그러나 기존의 2차원 나노소재를 활용한 메모리들은 캐리어를 가두어 두는 특성이 약하여 메모리로서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윤석진)은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 손동익 박사 연구팀이 절연 특성을 가지는 2차원 나노소재인 육방정 질화붕소(hexagonal Boron Nitride, h-BN) 초박막 구조 사이에 0차원 양자점을 단일층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이종 저차원 초박막 나노구조체 기반 투명하고 휘어짐이 가능한 메모리 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양자 제한 특성이 우수한 0차원 양자점을 활성층으로 도입, 2차원 나노소재에서 캐리어를 제어함으로써 차세대 메모리 후보가 될 수 있는 소자를 구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샌드위치 구조를 가지는 2차원 육방정 질화붕소(hBN) 나노소재 사이에 0차원 양자점을 수직 적층 복합구조체로 형성하여 투명하고 휘어짐이 가능한 소자로 제작하였다. 개발된 소자는 80% 이상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휘어졌을 때도 메모리 기능을 유지하였다. 손동익 박사는 “전도성을 가지는 그래핀에 비해, 절연성 특성을 가지는 육방정 질화붕소(hBN) 위에 양자점 적층 제어기술을 제시함으로써 초박막 나노복합 구조체 연구에 기초를 확립하였고, 차세대 메모리 소자의 제작 및 구동 원리를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라고 말하며 “향후 이종 저차원 나노물질 복합화의 적층 제어기술을 체계화하고 응용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지원으로 KIST 주요사업,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사업 및 나노원천기술개발사업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재료과학 및 복합소재 분야 국제저널인 ‘Composite Part B: Engineering’(IF: 9.078, JCR 분야 상위 0.549%) 최신 호에 게재되었다. * (논문명) Memory effect of vertically stacked hBN/QDs/hBN structures based on quantum-dot monolayers sandwiched between hexagonal boron nitride layer - (제 1저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심재호 박사후연구원 - (교신저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손동익 책임연구원 그림 설명 이종 저차원 나노복합구조체 기반 휘어지고 투명한 초박막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이종 저차원 나노복합구조체 기반 초박막 구조체 형성 이미지 이종 저차원 나노복합구조체 기반 초박막 메모리 소자 특성 자료
투명하고 휘어지는 초박막 메모리 소자 개발
- 육방정 질화붕소(h-BN) 사이에 0차원 양자점을 단일층으로 형성 - 80% 이상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휘어졌을 때도 메모리 기능 유지 이차원 나노소재 기반 플렉서블 메모리 소자는 데이터 저장, 처리, 통신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차세대 웨어러블 시장에서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수 나노미터(nm)의 2차원 나노소재로 초박막 메모리 소자를 구현할 경우, 기존에 비해 메모리 집적도를 크게 높일 수 있어 2차원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플렉서블한 저항변화형 메모리 등이 개발되어왔다. 그러나 기존의 2차원 나노소재를 활용한 메모리들은 캐리어를 가두어 두는 특성이 약하여 메모리로서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윤석진)은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 손동익 박사 연구팀이 절연 특성을 가지는 2차원 나노소재인 육방정 질화붕소(hexagonal Boron Nitride, h-BN) 초박막 구조 사이에 0차원 양자점을 단일층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이종 저차원 초박막 나노구조체 기반 투명하고 휘어짐이 가능한 메모리 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양자 제한 특성이 우수한 0차원 양자점을 활성층으로 도입, 2차원 나노소재에서 캐리어를 제어함으로써 차세대 메모리 후보가 될 수 있는 소자를 구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샌드위치 구조를 가지는 2차원 육방정 질화붕소(hBN) 나노소재 사이에 0차원 양자점을 수직 적층 복합구조체로 형성하여 투명하고 휘어짐이 가능한 소자로 제작하였다. 개발된 소자는 80% 이상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휘어졌을 때도 메모리 기능을 유지하였다. 손동익 박사는 “전도성을 가지는 그래핀에 비해, 절연성 특성을 가지는 육방정 질화붕소(hBN) 위에 양자점 적층 제어기술을 제시함으로써 초박막 나노복합 구조체 연구에 기초를 확립하였고, 차세대 메모리 소자의 제작 및 구동 원리를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라고 말하며 “향후 이종 저차원 나노물질 복합화의 적층 제어기술을 체계화하고 응용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지원으로 KIST 주요사업,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사업 및 나노원천기술개발사업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재료과학 및 복합소재 분야 국제저널인 ‘Composite Part B: Engineering’(IF: 9.078, JCR 분야 상위 0.549%) 최신 호에 게재되었다. * (논문명) Memory effect of vertically stacked hBN/QDs/hBN structures based on quantum-dot monolayers sandwiched between hexagonal boron nitride layer - (제 1저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심재호 박사후연구원 - (교신저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손동익 책임연구원 그림 설명 이종 저차원 나노복합구조체 기반 휘어지고 투명한 초박막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이종 저차원 나노복합구조체 기반 초박막 구조체 형성 이미지 이종 저차원 나노복합구조체 기반 초박막 메모리 소자 특성 자료
투명하고 휘어지는 초박막 메모리 소자 개발
- 육방정 질화붕소(h-BN) 사이에 0차원 양자점을 단일층으로 형성 - 80% 이상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휘어졌을 때도 메모리 기능 유지 이차원 나노소재 기반 플렉서블 메모리 소자는 데이터 저장, 처리, 통신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차세대 웨어러블 시장에서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수 나노미터(nm)의 2차원 나노소재로 초박막 메모리 소자를 구현할 경우, 기존에 비해 메모리 집적도를 크게 높일 수 있어 2차원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플렉서블한 저항변화형 메모리 등이 개발되어왔다. 그러나 기존의 2차원 나노소재를 활용한 메모리들은 캐리어를 가두어 두는 특성이 약하여 메모리로서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윤석진)은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 손동익 박사 연구팀이 절연 특성을 가지는 2차원 나노소재인 육방정 질화붕소(hexagonal Boron Nitride, h-BN) 초박막 구조 사이에 0차원 양자점을 단일층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이종 저차원 초박막 나노구조체 기반 투명하고 휘어짐이 가능한 메모리 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양자 제한 특성이 우수한 0차원 양자점을 활성층으로 도입, 2차원 나노소재에서 캐리어를 제어함으로써 차세대 메모리 후보가 될 수 있는 소자를 구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샌드위치 구조를 가지는 2차원 육방정 질화붕소(hBN) 나노소재 사이에 0차원 양자점을 수직 적층 복합구조체로 형성하여 투명하고 휘어짐이 가능한 소자로 제작하였다. 개발된 소자는 80% 이상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휘어졌을 때도 메모리 기능을 유지하였다. 손동익 박사는 “전도성을 가지는 그래핀에 비해, 절연성 특성을 가지는 육방정 질화붕소(hBN) 위에 양자점 적층 제어기술을 제시함으로써 초박막 나노복합 구조체 연구에 기초를 확립하였고, 차세대 메모리 소자의 제작 및 구동 원리를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라고 말하며 “향후 이종 저차원 나노물질 복합화의 적층 제어기술을 체계화하고 응용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지원으로 KIST 주요사업,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사업 및 나노원천기술개발사업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재료과학 및 복합소재 분야 국제저널인 ‘Composite Part B: Engineering’(IF: 9.078, JCR 분야 상위 0.549%) 최신 호에 게재되었다. * (논문명) Memory effect of vertically stacked hBN/QDs/hBN structures based on quantum-dot monolayers sandwiched between hexagonal boron nitride layer - (제 1저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심재호 박사후연구원 - (교신저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손동익 책임연구원 그림 설명 이종 저차원 나노복합구조체 기반 휘어지고 투명한 초박막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이종 저차원 나노복합구조체 기반 초박막 구조체 형성 이미지 이종 저차원 나노복합구조체 기반 초박막 메모리 소자 특성 자료
투명하고 휘어지는 초박막 메모리 소자 개발
- 육방정 질화붕소(h-BN) 사이에 0차원 양자점을 단일층으로 형성 - 80% 이상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휘어졌을 때도 메모리 기능 유지 이차원 나노소재 기반 플렉서블 메모리 소자는 데이터 저장, 처리, 통신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차세대 웨어러블 시장에서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수 나노미터(nm)의 2차원 나노소재로 초박막 메모리 소자를 구현할 경우, 기존에 비해 메모리 집적도를 크게 높일 수 있어 2차원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플렉서블한 저항변화형 메모리 등이 개발되어왔다. 그러나 기존의 2차원 나노소재를 활용한 메모리들은 캐리어를 가두어 두는 특성이 약하여 메모리로서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윤석진)은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 손동익 박사 연구팀이 절연 특성을 가지는 2차원 나노소재인 육방정 질화붕소(hexagonal Boron Nitride, h-BN) 초박막 구조 사이에 0차원 양자점을 단일층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이종 저차원 초박막 나노구조체 기반 투명하고 휘어짐이 가능한 메모리 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양자 제한 특성이 우수한 0차원 양자점을 활성층으로 도입, 2차원 나노소재에서 캐리어를 제어함으로써 차세대 메모리 후보가 될 수 있는 소자를 구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샌드위치 구조를 가지는 2차원 육방정 질화붕소(hBN) 나노소재 사이에 0차원 양자점을 수직 적층 복합구조체로 형성하여 투명하고 휘어짐이 가능한 소자로 제작하였다. 개발된 소자는 80% 이상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휘어졌을 때도 메모리 기능을 유지하였다. 손동익 박사는 “전도성을 가지는 그래핀에 비해, 절연성 특성을 가지는 육방정 질화붕소(hBN) 위에 양자점 적층 제어기술을 제시함으로써 초박막 나노복합 구조체 연구에 기초를 확립하였고, 차세대 메모리 소자의 제작 및 구동 원리를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라고 말하며 “향후 이종 저차원 나노물질 복합화의 적층 제어기술을 체계화하고 응용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지원으로 KIST 주요사업,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사업 및 나노원천기술개발사업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재료과학 및 복합소재 분야 국제저널인 ‘Composite Part B: Engineering’(IF: 9.078, JCR 분야 상위 0.549%) 최신 호에 게재되었다. * (논문명) Memory effect of vertically stacked hBN/QDs/hBN structures based on quantum-dot monolayers sandwiched between hexagonal boron nitride layer - (제 1저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심재호 박사후연구원 - (교신저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손동익 책임연구원 그림 설명 이종 저차원 나노복합구조체 기반 휘어지고 투명한 초박막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이종 저차원 나노복합구조체 기반 초박막 구조체 형성 이미지 이종 저차원 나노복합구조체 기반 초박막 메모리 소자 특성 자료
[요즘 과학 따라잡기] 전기 없이 지구 식히기 - 강구민 KIST 나노포토닉스연구센터 선임연구원
<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20px;="" font-weight:="" bold;="" letter-spacing:="" -1px;"="">지구온난화 차단 기술들 <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20px;="" font-weight:="" bold;="" letter-spacing:="" -1px;"=""> <span style="color: rgb(34, 34, 34);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20px;="" letter-spacing:="" -1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기록적 한파와 이상고온 현상이 매년 반복되는 등 지구온난화는 심각한 기후변화와 인명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온난화는 태양에 의해 뜨거워진 지구가 방출하는 열 복사에너지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에 흡수된 후 지표면으로 재방출되는 과정을 통해 일어난다. 뜨거워진 지구 때문에 냉방 가동률이 높아지고 그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해 온난화가 더욱 가속된다.<br style="letter-spacing: 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20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 style="letter-spacing: 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20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span style="color: rgb(34, 34, 34);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20px;="" letter-spacing:="" -1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한편 빈 공간인 우주의 온도는 영하 270도다. 지구에서 가장 추운 남극점도 최저기온이 영하 100도에 불과하다. 최근 과학자들은 “우주를 히트 싱크로 활용해 뜨거워진 지구를 식힐 수 있지 않을까”라는 기발한 상상을 하고 있다. 원리는 단순하다. 태양으로부터 받은 열을 잘 내보내는 소재를 이용해 지구의 열에너지를 우주로 방출하자는 것이다.<br style="letter-spacing: 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20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20px;="" letter-spacing:="" -1px;"="">대기 중에는 적외선인 지구 복사열이 흡수되지 않고 통과하는 투명한 영역이 있어, 대기권을 넘어 우주 공간으로 열을 빼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영역에서 복사열을 잘 방출하는 복사 냉각 소재를 이용하면 별도의 에너지 투입 없이도 주변부보다 5~10도가량 온도를 낮출 수 있음이 여러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이를 ‘무전력 광학 복사 냉각 기술’이라고 하며 미래를 바꿀 냉각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메타물질, 다공성 고분자 등 다양한 형태의 복사 냉각 소재들을 차량, 건물, 데이터 센터 등에 적용하면 열이 대기에 흡수되지 않아 온실가스 효과를 낮출 수 있을 것이다. <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20px;="" letter-spacing:="" -1px;"=""> <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20px;="" letter-spacing:="" -1px;"="">출처 : 서울신문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1012029010)
[투데이 窓] 미래라는 동전의 양면 - 김현우 융합연구정책센터 소장
불확실한 미래라는 동전에는 두려움과 희망이 새겨져 있다. 진시황은 분열된 중국을 통일해 중앙집권적 제국체제의 기틀을 세운 영웅이었다. 이룬 것이 큰 만큼 미래에 대한 두려움도 그만큼 컸다. 나라 밖으로는 북방 유목민족을 두려워했다. 세계 7대 불가사의로 꼽히는 만리장성을 쌓았다. 안으로는 다른 사상으로 제국이 분열될 것을 두려워했다. 분서갱유를 자행해 중국 역사상 최악의 폭군이 됐다. 죽음을 끝끝내 두려워했다. 70만명이 동원된 진시황릉을 세우며 국력을 낭비했다. 진시황이 50세 나이에 사망하자 4년 뒤 진 왕조도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br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고딕, "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4px;="" text-align:="" justify;"="">진시황이 두려움에 매몰된 것만은 아니었다. 통일제국의 영원한 번영을 위한 희망을 키워갔다. 지역에 따라 여러 형태로 사용되던 한자를 통일했다. 이로써 효과적인 소통과 교육이 가능했다. 크기, 부피, 무게를 재는 도량형을 통일했다. 운하를 정비하고 수레바퀴의 폭을 표준화해 물류의 효율성을 높였다. 효율적인 국가경제로 국부를 쌓았다. 광활한 제국을 5차례나 순행하며 직접 살폈다. 진시황이 이와 같은 희망에 더 중심을 두었다면 역사와 평가는 달랐을 것이다.<br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고딕, "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4px;="" text-align:="" justify;"=""><br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고딕, "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4px;="" text-align:="" justify;"="">희망을 미래의 중심에 두었을 때 세계는 우리 경제를 한강의 기적이라 했다. 1966년 당시 정부는 국가경제의 주춧돌이 될 종합제철소 건설을 추진했다. 미국, 영국, 서독을 포함한 5개국, 8개사로 대한국제제철차관단(KISA)을 구성하고 보고서를 작성했다. 실패 시 부담을 줄이기 위해 60만톤으로 규모를 줄이고 설비도 최소화했다. 눈앞의 국내 철강수요에 따른 최종 제품을 목표로 했다. 건설과 생산에서 정부의 파격적 지원을 요구했다. 세계은행은 두려움에 기초한 KISA 보고서를 거부했다. 당시 정부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경제분석실을 중심으로 새로운 계획수립에 착수했다. 우리 경제가 크게 성장할 것을 믿었다. 수출까지 목표로 삼았다. 미래 철강수요를 근거로 하되 경제성과 확장성 또한 소홀히 하지 않았다. 희망을 향해 나아가는 계획이었다. 1973년 계획서에서 명시한 103만톤 규모의 포항제철이 문을 열었다.<br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고딕, "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4px;="" text-align:="" justify;"=""><br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고딕, "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4px;="" text-align:="" justify;"="">반세기가 지난 지금 우리 사회가 느끼는 두려움이 예사롭지 않다. 한국인 10명 중 6명은 자식세대가 부모세대보다 가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선진국 국민의 보편적인 인식일 수 있다. 조사에 포함된 13개 국가 중 일본과 프랑스가 77%로 가장 높았고 그뒤를 이탈리아 72%, 스페인 71%, 미국 68% 순이었다. 우리보다 낮은 국가는 스웨덴 43%, 독일 50%, 네덜란드 54%에 불과했다. 문제는 추세다. 다른 국가는 과거보다 개선되거나 비슷했지만 우리는 2013년 37%에서 2021년 60%로 급속히 악화했다. 최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장혜영 의원은 청년층이 무리하게 빚을 내 투자하는 '영끌 빚투'가 심화한다고 우려했다. 청년층이 체감하는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무관하다고 보기 어렵다.<br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고딕, "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4px;="" text-align:="" justify;"=""><br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고딕, "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4px;="" text-align:="" justify;"="">'경제가 심리'라면 '미래도 심리'다. 우리 사회를 이루는 주요 주체들이 어떤 미래를 믿느냐에 따라 선택과 행동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과학기술만큼 수백만 가지의 꿈을 담아 희망을 키울 수 있는 훌륭한 그릇은 없다. 그래서 우리 사회에 희망의 씨앗을 제공해 미래에 대한 심리를 두려움에서 희망으로 돌려놓는 일, 과학기술계에 주어진 시대적 사명 중 하나다. 이를 위해 연구자부터 두려움이 아닌 희망을 향해 대담한 도전에 나서야 한다. 물론 시작일 뿐 충분하진 않다. 하지만 출신지를 따지지 않고 인재를 써야 한다는 '간축객서'(諫逐客書)로 유명한 진시황의 책사 이사는 이렇게 응원할듯하다.<br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고딕, "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4px;="" text-align:="" justify;"=""> "태산이 거대한 것은 작은 흙 하나하나가 쌓였기 때문이며, 바다가 깊은 것은 작은 물줄기가 모이고 모였기 때문이다." <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고딕, " malgun="" gothic",="" 돋움,="" dotum,=""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4px;="" text-align:="" justify;"=""> 출처 : 머니투데이(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100613160579577)
학회 존재 이유? "국민 건강, 경제발전까지 우리 몫"
[학회를 이끄는 사람들] 권오승 한국약제학회장·신경호 대한금속·재료학회장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30ada64a-2832-48e0-9305-c184f5e2a6b1"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9f4a405-27d7-441f-bc5c-50d27c084070"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학회는 학문과 연구 종사자들이 그 분야를 깊게 연구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만든 모임이다. 많은 학회가 매년 학술지 발표를 통해 개인 연구를 알리고, 학술대회를 통해 연구한 내용을 공개 발표하며 과학성을 검증, 해당 주제를 서로 토론·교류하며 관련 분야 산업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180312cc-5ce7-4dfa-ac2e-d9d797932c2a"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2f4a41bb-dbdc-44b8-b831-b7e71f194358"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학문 분야가 다양해지고 세분화되면서 학회 활동도 활발해지는 가운데, 학회를 이끄는 KIST인들을 만나봤다. 대한금속·재료학회 신경호 회장(KIST 혁신기업협력센터)과 한국약제학회 권오승 회장(KIST 도핑콘트롤센터)이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2f4a41bb-dbdc-44b8-b831-b7e71f194358"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2f4a41bb-dbdc-44b8-b831-b7e71f194358"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center;"="" align="center">자발적으로 금고 털어 '산학연 융합 플랫폼' 개설...'대한금속·재료학회'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2f4a41bb-dbdc-44b8-b831-b7e71f194358"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center;"="" align="center">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2f4a41bb-dbdc-44b8-b831-b7e71f194358" style="text-align: justify; 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lign="justify"> 신경호 회장이 이끄는 대한금속·재료학회는 1946년 창립돼 국내 학회 중에서도 오랜 역사를 가진다. 약 1만 7000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SCI·SCIE급 국문·영문 학회지 3개를 발간하는 등 학술진흥에 힘쓰고 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2f4a41bb-dbdc-44b8-b831-b7e71f194358" style="text-align: justify; 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lign="justify">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2f4a41bb-dbdc-44b8-b831-b7e71f194358" style="text-align: justify; 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lign="justify"> <b style="font-weight: 700;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color:="" rgb(85,="" 85,="" 85);="" font-size:="" 13px;="" font-style:="" normal;="" font-variant-ligatures:="" font-variant-caps:="" letter-spacing:="" orphans:="" 2;="" text-align:="" center;="" text-indent:="" 0px;="" text-transform:="" none;="" white-space:="" pre-wrap;="" widows:="" word-spacing:="" -webkit-text-stroke-width:="" text-decoration-thickness:="" initial;="" text-decoration-style:="" text-decoration-color:="" initial;"=""> 신경호 대한금속·재료학회장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dcce04e-fefe-4e27-92eb-665cd8c30c6d" style="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font-size:="" 0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font-weight:="" border:="" font-stretch:="" line-height:="" 1.5;=""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일본의 수출 규제가 있기 전부터 대한금속·재료학회의 오랜 화두는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자립이었다. 한일무역분쟁이 우리에게 위기였지만 학회는 이를 기회 삼아 새로운 프로젝트들을 준비 중이다. ▲소부장의 중요성 홍보 ▲소재 산업 지속발전을 위한 산학연 플랫폼 마련 ▲ 소재 강국 실현을 위한 정책 수립시스템 구축 등이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dcce04e-fefe-4e27-92eb-665cd8c30c6d" style="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font-size:="" 0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font-weight:="" border:="" font-stretch:="" line-height:="" 1.5;=""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e7f0330e-f707-4b3f-a5fb-14e3d811ff4b" style="text-align: center;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font-size:="" 0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font-weight:="" border:="" font-stretch:="" line-height:="" 1.5;=""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lign="center">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e7f0330e-f707-4b3f-a5fb-14e3d811ff4b" style="text-align: center;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font-size:="" 0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font-weight:="" border:="" font-stretch:="" line-height:="" 1.5;=""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lign="center">대한금속·재료학회는 소재강국을 위 산학연 협력플랫폼 LinKIM을 11월 1일 오픈한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e7f0330e-f707-4b3f-a5fb-14e3d811ff4b" style="text-align: center;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font-size:="" 0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font-weight:="" border:="" font-stretch:="" line-height:="" 1.5;=""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align="center">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8d82ab90-24a5-43f9-a371-ce330e63ede6" style="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font-size:="" 0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font-weight:="" border:="" font-stretch:="" line-height:="" 1.5;=""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3개 과제 중 가장 주력하고 있는 것이 소재기술 지속발전 및 자립을 위한 '산학연 협력 모델 플랫폼(Linkim)'이다. 11월 1일 오픈 예정인 Linkim은 산학연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하는 공간이다. 학회는 소재관련 연구자와 기업의 연구개발 및 실용화를 끝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기업, 학교, 연구소 관계자 누구든 사용할 수 있다. 플랫폼 구축을 위해 학회 차원에서 1억 6천만 원을 들였다. 학회가 자발적으로 금고를 털어 추진한 전례 없는 프로젝트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8d82ab90-24a5-43f9-a371-ce330e63ede6" style="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font-size:="" 0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font-weight:="" border:="" font-stretch:="" line-height:="" 1.5;=""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그는 "혁신을 꿈꾸는 모든 기관이 산학연 협력의 중요성을 알고 있지만 제대로 되고 있지 않다. 국가가 30조를 투입해 만든 학교·연구소 기술이 기업으로 이전돼 제품이 되어야 하는데 각자의 성향, 지향하는 바가 너무 달라 다른 세상을 사는 사람처럼 말도 제대로 통하지 않는 것이 산학연의 현실"이라며 "산학연이 제대로 협력할 수 있는 산학연 플랫폼을 만들어 한계를 극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9b0a9c0b-509a-4a61-9159-243ad19e3a74"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dde435a5-3aa7-4f6d-8c80-9ec86e8f9ae9"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산학연 협력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대중소기업상생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동반성장위원회 등을 만들고 부처마다 산학연협력과가 신설됐지만 간극이 좁혀지지 못했다. 신 회장은 정부주도 프로젝트의 경우 세금을 쓰기 때문에 공정, 투명성을 담보하다보니 제도가 복잡해져 연구자와 기업에 와닿는 지원이 어려웠던 것을 원인으로 꼽는다. 한 기업, 한 연구자를 위해 존재한다는 느낌을 줄 수 없었다는 것이다. Linkim은 이런 틀을 깨버린다. 정말 가능성 있는 기업과 연구자라면 될 때까지 지원한다. 소부장 관련 연구자와 기업이 걱정 없이 놀 수 있는 판을 까는 것이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bf3199a5-bd04-4ecc-b707-7e77e0d8cc9b"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0c23c920-b266-4f04-812e-ddb24b00a0bd"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신 회장은 "연구자들은 여러 산학연 플랫폼에서 내가 원하는 특허를 하나 찾기도 어려웠다. 우리는 '너만을 위해 존재한다'는 것을 키워드로 기업과 연구자들이 원하는 것을 끝까지 지원한다. 학회는 공공기관이 아닌 만큼 기존 산학연 협력 플랫폼보다 할 수 있는 부분이 많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48d756b-d411-42d5-9cd1-55d61ffe8c6f"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467388ea-75a2-46f4-a704-5680808ff268"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왜 학회가 이런 일까지 해야 하느냐'는 내부의 반발도 많았다. 하지만 신 회장은 "학회정관에 '학술진흥과 산업에 이바지하겠다'는 문구가 있다. 우리는 학술진흥은 잘해왔지만 산업이바지를 위해 무엇을 했는가를 고민했다. 혁신을 꿈꾸는 산학연 관계자들이 제대로 협력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 우리 몫이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303dbf7d-4674-41ad-bbfd-0a036588703e"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e74043b-2c80-45c1-8b65-9db2a678209a"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소재강국의 순위가 곧 세계 강대국 순위"라고 말하는 그는 우리나라가 소재 강국이 되려면 적어도 30년은 더 연구에 몰입해야 한다고 봤다. 단기간에 승부를 볼 수 없기에 오랜 호흡이 필요하다는 것.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f31817fc-7ffc-437e-9139-2d36d35ad711"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3eb1db15-5bc3-402b-bde7-815df95b42c4"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그는 "소부장은 단기 프로젝트라 생각하고 추진하면 많은 예산을 들여도 흩어질 뿐이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산학연이 신뢰를 바탕으로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내후년까지 플랫폼을 운영할 수 있는 예산을 자체적으로 확보했다. 자체적인 수익모델도 고민 중이다. 플랫폼 속에서 산학연 협력을 통해 소재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바이오·제약산업 성장 함께하겠다" 한국약제학회는 1971년 창립해 올해 50주년을 맞았다. 학회는 50년 역사 동안 학술연구를 공유하며 우리나라 약제학 분야의 학문발전뿐 아니라 전문의약품 개발, 정책 수립 등을 지원하며 바이오·제약산업 성장에 구심체 역할을 해왔다. 37대 회장으로 권오승 박사가 선임돼 활동 중이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7bc4906b-a21b-4f24-b018-333225a45aad"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888ac009-3c37-4091-991a-99dc8a0c6448"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최근 학회 이슈는 '기존 개발된 약품의 안전성'이다. 예로 지난해 국내 유통되는 '메트포르민' 성분 당뇨병 치료제에서 발암 추정물질이 나오면서 대혼란이 있었다. 학회는 그럴 때마다 전문가와 함께 이슈를 토론하며 대처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9586a2a-77a6-48ce-9787-9da61f60dffd"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0888becc-279e-4b28-92bd-43446c2546b6"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이미 시판된 약물에서 발암 추정물질이 나오는 것은 왜일까? 권 회장은 "첨단분석장비 및 분석기술이 발전하면서 미량분석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과학기술 발전으로 약물 속 수 나노그램 물질까지 확인이 가능해지면서 기존에 발견할 수 없었던 물질이 시판된 약품에서도 발견되는 사례들이 생기는 것이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7fd7132a-68fb-44bd-b4f7-bed5cc80041c"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2c786e76-e204-4447-a795-9fa2d3a32f38"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그는 "실제 암을 일으키는지는 연구를 해봐야 하지만 환자로서는 무엇보다도 불안감을 가질 수밖에 없다. 앞으로 이런 사례들은 몇 차례 더 나올지도 모른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도 규정 및 대처를 하지만 전문가들이 워크숍에서 주요 대책 등을 논의하면서 기업이나 연구자들이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2c786e76-e204-4447-a795-9fa2d3a32f38"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2c786e76-e204-4447-a795-9fa2d3a32f38"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권오승 한국약제학회장 권 회장에게 우리나라 제약산업 성공 가능성을 묻자 "50년 전만 해도 주로 원료의약품을 수입해 제품을 생산했지만, 현재는 신약개발 연구 투자에 힘입어 매출 1조원 이상의 제약·바이오 업체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봤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1f1a1087-8797-4bc9-a85d-0ab98edb401a"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28846a31-e757-43bf-861e-390d88ab2e7f"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다만 아쉬운 점은 아직까지는 세계 50대 기업 순위에 우리나라 제약 회사가 들어있지 않는 점이다. 하지만 그는 "코로나19로 우리나라 제약기업 위상이 높아졌다. 여기에 정부는 2030년 제약 의료기기 세계시장 점유율 5위권, 의약품 수출 10위권 진입을 목표로 신약개발에 2.4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며 "1990년 신약개발을 시작해 30년이 됐다. 기술·비결·인프라·인력풀이 축적되고 있어 앞으로 제약, 바이오헬스 분야의 성장이 크게 기대된다"고 말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b2bd7624-3e54-4159-a35d-9bed6e53c5c1"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249ec873-a6b7-48cf-9876-8b084ff04a8b"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이어 그는 "이러한 정부의 노력 중심에 학회 회원들이 자리 잡고 있다고 생각한다. 학연산관의 수많은 약제학 분야 연구자들의 모임인 한국약제학회에서도 우리나라 바이오와 제약산업이 한층 더 성장할 수 있도록 함께할 것"이라고 말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249ec873-a6b7-48cf-9876-8b084ff04a8b"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249ec873-a6b7-48cf-9876-8b084ff04a8b"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학회는 1971년 첫 공식국문저널을 발간했다. 이후 한차례 표지디자인을 변경했으며, 영문지로 바뀌었고 올해 SCIE에 등재됐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249ec873-a6b7-48cf-9876-8b084ff04a8b"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그는 최근 학회의 기쁜 소식도 전했다. 공식영문 학술지인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의 SCIE 등재다. 이 저널은 1971년 11월 15일 학회 공식국문저널로 창간되었다가 표지디자인 변경, 2012년 영문지로 바꾸고 온라인 투고시스템 도입을 통해 현재에 이르렀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e755ffd8-37ca-439b-a375-a10f7cf5eb12"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7bf7ccc6-a47f-459e-a841-2c554ac8211c"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그는 "학회공식저널의 질이 향상되기까지 어려움이 많았지만, 우리나라 연구개발비의 꾸준한 투자와 연구자들의 연구수준이 향상되어 위기를 극복해나갔다"며 "전임회장단과 편집국에서의 꾸준한 노력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129b3d4d-efd5-4fa7-8159-40d1afc72710"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856e66bd-4070-4b37-9e71-be5d27320dff"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학회는 50주년을 맞아 오는 12.1일부터 3일간 The-K 호텔에서 한국약제학회 50주년 기념 총회 및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 중이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13a5564e-0462-461c-a93e-aa6fde43081f"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91aea09f-0421-4efc-9432-6bd76949f2af"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권 회장은 "지난 4월, 9월에 있었던 학술대회는 모두 비대면으로 개최해 아쉬움이 컸었다. 코로나 상황이 지금보다 나아져 모든 것이 계획한 대로 잘 이루어지고, 이 행사가 꼭 성공적으로 완수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91aea09f-0421-4efc-9432-6bd76949f2af"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91aea09f-0421-4efc-9432-6bd76949f2af"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한국약제학회는 1971년 창립해 올해 50주년을 맞았다. 학회는 50년 역사 동안 학술연구를 공유하며 우리나라 약제 학문발전뿐 아니라 전문의약품 개발, 정책 수립 등을 지원하며 바이오·제약산업 성장에 구심체 역할을 해왔다. 학회는 오는 12월 1일부터 3일간 The-K 호텔에서 한국약제학회 50주년 기념 총회 및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dcce04e-fefe-4e27-92eb-665cd8c30c6d" style="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font-size:="" 0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font-weight:="" border:="" font-stretch:="" line-height:="" 1.8;=""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Vol.196] KIST 펠로우 1호 연구자 나왔다
수소산업, 지역 발전과 함께해야 - 김진상 KIST 전북복합소재기술연구소 분원장
<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color: rgb(34, 34, 34); font-size: 14pt;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20px;="" letter-spacing:="" -1px;"="">전 세계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위기를 극복하고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석유, 석탄으로 대표되는 화석에너지를 대체할 차세대 에너지원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br style="letter-spacing: 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20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span style="color: rgb(34, 34, 34); font-size: 14pt;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4pt;="" letter-spacing:="" -1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2015년 12월 195개국이 채택한 파리기후변화협약에 의해 선진국과 개도국 모두가 탄소배출량을 향후 대폭적으로 줄여야 한다. 파리협약에서는 산업화 이전 수준 대비 지구 평균온도가 2도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유지하고 1.5도까지 억제할 수 있어야 한다는 내용과 함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자발적으로 제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차세대 에너지원 개발은 국가의 사활이 걸린 문제일 수밖에 없다.<br style="letter-spacing: 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20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 style="letter-spacing: 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20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span style="color: rgb(34, 34, 34); font-size: 14pt;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4pt;="" letter-spacing:="" -1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한국은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청정에너지원으로 수소에너지에 주목하고 있다. 2018년에는 수소경제 활성화와 수소기술 개발 관련 로드맵을 마련했고, 올해는 세계 최초로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수소법)을 제정해 법적 근거를 마련하며 수소산업 육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수소산업 로드맵에 따르면 2050년 국내 수소시장 매출 규모는 70조원대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매킨지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쯤 세계 수소산업의 매출 규모는 2조 5000억 달러(약 3000조원)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br style="letter-spacing: 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20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 style="letter-spacing: 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20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span style="color: rgb(34, 34, 34); font-size: 14pt;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4pt;="" letter-spacing:="" -1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세계적 흐름인 수소경제를 선점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노력 외에도 지역 차원에서의 기술력 확보와 인프라 강화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2019년 전주ㆍ완주, 울산, 안산 세 곳을 수소 시범도시로 선정했고, 산업ㆍ인프라 등에서 수소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하는 수소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특히 전주ㆍ완주 지역은 세계 최초 수소트럭 상용화와 국내 유일 수소버스 생산 지역이다. 탄소복합소재를 활용한 대용량 수소 저장용기 산업의 중심지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수소 용품 인증센터도 잇달아 유치했으며, 수소 특화 국가산업단지 조성까지 추진하고 있어 국가적인 수소산업 경쟁력 강화의 지렛대 역할을 하고 있다.<br style="letter-spacing: 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20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color: rgb(34, 34, 34); font-size: 14pt;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4pt;="" letter-spacing:="" -1px;"="">지역이 핵심 역할을 하는 그린뉴딜 정책은 수도권 집중 현상에 따른 지역 낙후ㆍ소외를 극복하고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정책이다. 수소경제는 그동안 산업화에서 소외됐던 지역에 그린산업을 통한 신성장 동력 확보를 가능하게 하여 국가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소중립이라는 국가적 목적까지 달성할 수 있다. 앞으로도 지역과 국가의 발전을 위해 적극적이고 균형된 정책이 계속되길 기대해 본다. <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color: rgb(34, 34, 34); font-size: 14pt;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4pt;="" letter-spacing:="" -1px;"=""> <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color: rgb(34, 34, 34); font-size: 14pt;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4pt;="" letter-spacing:="" -1px;"="">출처 : 서울신문(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1026030005&wlog_tag3=naver<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color: rgb(34, 34, 34); font-size: 14pt;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맑은="" 고딕",="" "malgun="" gothic",="" 나눔고딕,="" 돋움,="" dotum,=""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4pt;="" letter-spacing:="" -1px;"="">)
11개 입상팀 전원 투자의향 확보, 홍릉강소특구 이노폴리스캠퍼스 GRaND-K 창업학교 마무리
- “끝이 아닌 시작” 창업팀은 유니콘 기업으로, 홍릉은 창업의 메카로 도약하길 - 공통교육, 인턴십, 라운드별 경연 등 6개월에 걸친 대장정 마무리 홍릉강소특구사업단 및 기술핵심기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윤석진), 경희대, 고려대가 주관하는 오디션형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되었다. 최종 라운드에서 입상한 11개 창업기업 모두 투자기관으로부터 투자의향서를 확보했다. GRaND-K 창업학교는 국내 11개 투자기관으로부터 입상팀에 대한 사전 투자 검토를 확약받으며 시작됐다. 서면평가를 통해 선정된 64개 팀이 각 분야 창업 성공사례 및 투자 실무 등에 대한 총 6회에 걸친 공통 창업교육을 수료하였으며, 이 중 45개 팀이 창업경진대회 경연에 참가했다. 각 창업팀은 1라운드에서 전담 엑셀러레이터 및 투자기관과 매칭되어 인턴십 프로그램에 참여해 벤처기업의 투자 현장을 경험하였고, 매 라운드를 통과하기 위해 피나는 노력을 기울였다. 그간 창업팀의 기술성(Tech), 시장성(Market), 혁신성(Renovation)을 주제로 3라운드에 걸쳐 경연이 진행되었다. 10월 21일 오전부터 진행된 최종 라운드에선 참가 팀의 노력을 집대성하여 11개 팀이 ‘최종 기업투자설명회(IR)’을 주제로 경연을 펼쳤다. 창업학교 런칭에 참가했던 11개 투자기관 대표들과 청중평가단 15인이 평가한 결과, 최종적으로 ㈜시프트바이오가 대상을, ㈜마이오텍사이언스가 최우수상을 차지하였다. 대상을 수상한 (주)시프트바이오는 엑소좀 기반 플랫폼 기술로 새로운 신약 개발 방식을 구축해 항암 면역 그리고 희귀성난치성질환 치료제 개발에 도전하고 있다. 경연에서 입상한 팀에게는 대상 3천만 원에서부터 장려상 3백만 원까지의 바우처가 제공됐다. 또한, 창업학교의 가장 중요한 취지였던 투자와 관련해서는 입상한 11개 기업 전체가 8개 투자기관으로부터 투자의향서를 전달받았으며, 이 중 5개 기업은 2건 이상의 투자의향서를 전달받아 입상팀의 창업 성공 가능성이 더욱 높이 평가되었다. 각 입상팀은 홍릉강소특구와 KIST, 경희대와 고려대 등 기술핵심기관의 창업 활동 지원을 받으며 유니콘 기업으로의 도약을 시도하며, 아쉽게 경진대회에서 입상하지 못한 창업팀들도 2회 창업학교를 기약하며 새로운 도전을 준비하게 된다. ㈜시프트바이오 남기훈 부대표는 “산업계 선배들의 강연, 많은 투자자를 직접만날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이었다. 저희의 비전인 혁신 신약을 만들어서 많은 환자에게 두 번째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KIST 윤석진 원장은 “컨셉페이퍼 한 장에서 시작된 GRaND-K 창업학교가 대단원의 막을 내리고 있는 지금, 기대이상의 참여와 열정으로 홍릉강소특구 창업생태계 조성의 씨앗이 뿌려졌다. 차기 창업학교는 새로운 도전과 시도를 바탕으로 특화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여 홍릉이 창업의 메카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보건복지위원회 김민석 위원장을 비롯하여, 서울시 황보연 경제정책실장, 연구개발특구재단 강병삼 이사장, 경희대 한균태 총장, 고려대 정진택 총장 등 외빈이 참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