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
게시물 키워드""에 대한 9480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양자얽힘 측정을 이용한 효율적인 양자광학 VQE 시뮬레이터
본 연구는 단일 광자의 편광과 경로 자유도를 동시에 활용하는 양자광학 VQE(variational quantum eigensolver)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선형 광학 소자인 편광 빔 분리기를 이용하여 편광 큐비트와 경로 큐비트 간 결정론적 CNOT 연산을 구현하고 이를 통해 추가적인 2큐비트 연산 부담 없이 양자얽힘 측정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2큐비트 반강자성 하이젠베르크 모델과 He-H+ 양이온 해밀토니안에 대한 바닥 상태 에너지 계산 실험을 통해 측정 설정 수를 크게 줄이고 실험적 오류에 대한 내구성을 검증하였다.
바닥 상태 계산을 위한 난수 기반 거듭제곱 양자 알고리듬의 개발 및 검증
기존의 바닥 상태 양자 알고리듬들이 가진 문제점인, 수렴성 불분명, 혹은 비싼 양자 회로 설계 의존성을 동시에 해결한 새로운 난수 기반 거듭 제곱 양자 알고리듬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알고리듬을 실제로 적용하여 이론 및 수치적으로 검증하였다.
동적 터널링 방법론을 이용한 변분 양자 알고리듬의 전역 최적화
본 연구는 변분 양자 알고리듬(VQA)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동적 터널링(dynamic tunneling) 방법을 적용한 전역(전체 영역) 최적화 방안을 제시하고, 양자 상태 간 거리 측정을 활용하여 동적 터널링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확장한 내용이다. 특히 양자 상태 간 거리 측정을 포함한 개선된 최적화 방식은 기존 최적화 방식이 갖는 국소 최소점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전역 최소점으로의 수렴을 촉진한다. 이를 통해 VQA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양자 계산 문제에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안하였다.
양자 맥락성을 이용한 새로운 계측 방법론으로 기존의 측정 정밀도 한계 극복
측정에서의 양자 맥락성(contextuality)을 양자적 자원으로 활용하여, 기존의 측정 정밀도의 한계로 알려진 양자 크라메르-라오 하한(quantum CRB: QCRB)을 넘어서는 새로운 계측 방법론 개발 및 실험적 검증을 수행하였다.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극과 니켈-코발트 전기촉매를 활용한 알칼리성 매질에서의 광전기화학적 수소 발생 반응
전체 수전해 반응의 과전압을 줄이기 위한 니켈-코발트(NiCo) 전기촉매를 개발하고,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광전극과 결합하여 높은 광전류 밀도와 개시 전위를 달성하였다. 또한 산소 발생 반응의 느린 동역학을 극복하기 위해 하이드라진(hydrazine) 산화 반응을 도입하여 태양광을 통해 생성된 광전압만을 이용하여 수소 생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광전기화학적 수소 생산을 실현하였다.
수산화니켈을 사용한 전기화학적 HMF 산화 반응에서 유기 용매 첨가에 따른 효과
전기화학적 수소 생산과 커플링 될 수 있는 HMF 산화 반응에 유기 용매 첨가제를 도입하여 생산물인 FDCA의 패러데이 효율을 저전압 영역에서 최대 90%까지 향상시켰으며, 이는 전체 셀 전압을 낮추면서도 양 전극에서 모두 고부가가치 물질을 얻을 수 있다는 데 의의를 가진다.
양자 시뮬레이터 핵심기술인 광자-전자-원자 포함 양자 동역학 기술법 개발
양자시뮬레이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한 빛-물질 상호작용 기술법 및 다중 성분 양자 동역학 시뮬레이션 계산 기술법을 확보하였다.
아날로그 양자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비평형 동역학의 물리법칙 검증
극저온으로 냉각된 중성원자를 이용하여 시스템이 갖는 대칭성에 따라 비평형 동역학의 보편성 분류가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양자 다체계의 복잡한 비평형 동역학을 이해하기 위한 통합 체계를 구축하는데 이바지하였다.
학부연구생 참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학부생(졸업하지 않은 상태)으로서 키스트 랩실에서 연구할 기회를 얻고 싶어 문의 드립니다. kist와 대학교들이 협약을 맺어 ‘현장실습’ 명목으로 학부생 인턴을 받아주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때 원하는 랩실이 현장실습에 참여하지 않았거나 그 외의 이유로, 학교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랩실에 컨택하여 학부생 연구원으로 지원할수 있는지 여쭙습니다. 감사합니다
KIST, 제3기 청렴시민감사관 위촉식 및 정기회의 개최
KIST, 제3기 청렴시민감사관 위촉식 및 정기회의 개최 - 2026년 9월까지 다양한 반부패·청렴정책 활동 강화 연구성과뿐 아니라 윤리경영에서도 세계 수준의 연구기관으로 자리매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오상록)은 11월 26일, 서울 본원 의전실에서 오상록 원장 등 주요 보직자들과 함께 ‘제3기 청렴시민감사관’을 출범하고 위촉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위촉식은 새로 위촉된 청렴시민감사관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위촉식 이후 개최된 청렴시민감사관 회의에서는 ‘기관의 반부패 청렴 시책 추진방향’을 주제로 청렴도 개선을 위한 토의가 진행됐다. 제3기 청렴시민감사관은 이재훈 교수(변호사)(성신여자대학교 법학부), 최구호 회계사(대영회계법인), 박채늬 노무사(노무법인 한수)가 위촉돼 2년간 활동할 예정이다. 청렴시민감사관은 KIST의 주요 사업과 부패 취약 분야에 대한 자문과 제도 개선 제안 및 권고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외부 부패방지시스템이다. KIST는 지난 2017년부터 이 제도를 도입, 운영해 오고 있다. 오상록 원장은 “KIST는 지난 8년간 청렴시민감사관의 자문과 제안 등을 통해 불합리한 제도와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제3기 청렴시민감사관의 위촉으로 많은 활동을 기대한다.”고 말하며, 기관의 청렴도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을 강조했다. KIST는 지난 2021년 ISO37001(부패방지경영시스템)을 인증 취득을 한 바 있으며, 2025년에는 출연연구소 중 선도적으로 ISO37301(규범준수경영시스템)을 인증·도입을 추진함으로써 연구성과뿐만 아니라 윤리경영에서도 세계 수준의 연구기관이 되어 정부와 국민으로부터 더욱 신뢰받는 기관으로 노력하고 있다. [사진1] (좌측부터) 이재훈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오상록 KIST 원장, 박채늬 노무사, 최구호 회계사 위촉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2] 위촉식에 참석한 주요 관계자들이 위촉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